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법인격부인의 적용요건에 관한 대법원 판결에 대한 검토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upreme Court Rulings on Requirements for Piercing the Corporate Veil

이훈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we review the validity of the theory of complementary application in regards to the Supreme Court rulings on requirements for piercing the corporate veil between an existing company and a newly established one. According to the theory of complementary application, one should not disregard the corporate entity when one is able to be reimbursed by applying actual regulations or traditional judicial theory. It is however questionable whether this theory is reasonable in practice. This is because if a creditor exercises his right according to actual regulations or traditional judicial theory, but may pierce the corporate veil only when he cannot be reimbursed, a question arises as to who bears the burden of proving the fact. It is difficult to impose the burden on either the creditor or the debtor. According to the Supreme Court ruling on incorporation or abuse of corporate personality introduced in this paper, the transferring of assets to the defendant foundation by the third party 2, a natural person, for the purpose of debt evasion is not an abusive behavior that is worth piercing of the corporate veil. The necessity of protecting corporate property should be compared with and weighed against the necessity of protecting creditors when the matter of piercing the corporate veil is determined. it is possible for the third party 2, who controls the defendant foundation, to exert influence on the defendant foundation in regards to the management of assets such as the transferred real estate. The defendant foundation gained a profit by acquiring the real estate at no cost, and the transfer of real estate resulted in the plaintiff suffering a loss because he could not be reimbursed for his bonds. It is reasonable to pierce the corporate veil in order to protect the creditor who suffered a loss when he could not be reimbursed for his bonds. According the Supreme Court, the shareholders of the parent company are not allowed to bring a double derivative suit, because the parent company and the subsidiary company are separate corporate entities, and article 403 of the Commercial Law limits the right to bring a representative suit to the shareholders of the company to which the accused director belongs. If one applies the Supreme Court’s legal principle on requirements for piercing the corporate veil, is it possible to bring a double derivative suit? Even if the requirements are satisfied, the creditor of the subsidiary company is only allowed to call the parent company to account based on piercing of the corporate veil. Therefore, if one applies this legal principle, one cannot reach the conclusion that the minority shareholders are able to bring a double derivative suit. It is not fair when the person who embezzles the net asset of the subsidiary company is able to keep an unfair profit because double derivative suits are not allowed, and the minority shareholders of the parent company who suffers a loss cannot be reimbursed for the damage. When an abuse of corporate personality results in unfairness, it is reasonable to pierce the corporate veil and allow double derivative suits in order to protect the right holders.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기존회사와 신설회사간의 법인격부인의 요건에 관한 대법원 판결과 관련하여 보충적 적용설의 타당성에 대하여 검토한다. 보충적 적용설에 따르면 실정법규나 기존의 사법이론을 적용함으로써 변제받을 수 있는 경우에는 법인격을 부인하지 말아야 한다고 한다. 그러나 이 학설이 현실적으로 타당한가는 의문이다 . 채권자가 실정법규나 기존의 사법이론에 따라 권리를 행사하였지만, 변제받을 수 없는 경우에만 법인격을 부인할 수 있다면 누가 그 사실에 대한 증명책임을 부담하느냐는 문제가 제기되는바, 채권자나 채무자 누구에 게도 증명책임을 부담시키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고 있는 법인격의 형해 또는 남용에 관한 대법원 판결에 따르면 자연인 소외 2가 이미 설립 되어 있던 피고재단에게 채무를 면탈할 목적으로 재산을 이전하는 행위가 법인격을 부정할 만한 남용행위는 아니라고 한다. 그러나 법인재산 보호의 필요성과 채권자 보호의 필요성 등을 비교․형량하여 법인격의 부인 여부에 대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피고재단을 지배하고 있는 소외 2는 이전된 부동산 등 자산의 운용과 관련 하여 피고재단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피고재단은 무상으로 부동산을 취득하는 이익을 얻었지만, 원고는 부동산이 이전됨으로써 채권을 변제받지 못하는 손해를 당하게 되어 형평에 반한다. 법인격이 남용되어 형평 에 반하는 결과가 초래된 경우 채권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법인격을 부인하는 것이 타당하다. 대법원에 따르면 지배회사와 종속회사는 별개의 법인격을 가진 회사이고, 상법 제403조의 해석상 대표소송의 제소자격은 책임을 추궁당하는 이사가 속한 회사의 주주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지배회사 주주는 이중대표소 송을 제기할 수 없다고 한다. 모자회사간의 법인격부인의 요건에 관한 대법원 판결의 법리를 적용한다면 이중 대표소송을 제기하는 것이 가능한가? 요건이 충족된다하더라도 자회사 채권자가 법인격부인을 근거로 모회 사 책임을 추궁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이 법리를 적용하는 경우 모회사 소수주주가 이중대표소송을 제기 할 수 있다는 논리로 연결되지 아니한다. 이중대표소송을 제기할 수 없게 되어 종속회사 순자산을 횡령한 자 가 부당한 이득을 보유하게 되고, 손해를 당한 지배회사 소수주주가 그 손해를 배상받지 못하게 되어 형평에 반한다. 법인격이 남용되어 형평에 반하는 결과가 초래된 경우 권리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법인격을 부인하여 이중대표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목차

초록
 I. 서론
 II. 기존회사와 신설회사간 법인격부인의 요건
 III. 법인격부인의 요건으로서 법인격의 형해 또는 남용
 IV. 모자회사간 법인격부인의 요건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훈종 Lee, Hun-Jong. 동국대학교-서울 법과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