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兩晉시대 ‘爲人後者’의 服制 담론

원문정보

Discussion of vestment in obsequies of the ‘Weirenhouzhe’ in the Jin dynasty

양진시대 ‘위인후자’의 복제 담론

김용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ring the Xuan-di king of the Western Han Dynasty, ever since the argument between the Dai- sheng and Wenren-tonghan about the Weirenhou regulation of the 『YiLi(儀禮)』 「Sangfu(喪服)」 cites to the East Han dynasty, the priority of the greater patriarchal system and the Patriarchal clan system principles continued throughout. However, when the Jin dynasty advent, there were words that if the smaller patriarchal system has no sons born of concubines, ‘the greater patriarchal system could be cut’ and in terms of the group composition of patriarchal clans, the importance of ‘the smaller patriarchal system’ has become emphasized and there were changes in the acknowledgement of the status of the greater patriarchal system -the smaller patriarchal system in the Han dynasty. Such changes in the acknowledgement was reflected into the duplication controversy of the ‘Weirenhouzhe’. Zhang-zhan(張湛) tried to make a new duplication without getting stuck in the regulation of Patriarchal clan system of ‘Weirenhou’ that says ‘sons born of concubines of the smaller patriarchal system if succeeded by the descendents of the greater patriarchal system’ and Xu-meng(許猛) also claimed that even if one becomes a descendent of a greater patriarchal system, when the descendent to the smaller patriarchal system is cut, one can come back to the main system and for their own father, it should be zhuifu to the zhancui(斬衰) year 3 and showed the concept of the duplication focused on the ‘smaller patriarchal system’. As the duplication concept focused on the ‘smaller patriarchal system’ became known, there were new changes in the basic spirit of making rituals. It is the spirit of ‘Chengqing(稱情)’and the theory of ‘Qin(親)’. The duplication concept of the ‘Qin’ focused shows that it wants to congregate the clans through the emotions of amicability among the clans. Since the end of the East Han dynasty, the Saouzu function of the greater patriarchal system was almost demolished. Especially, during the Dongjin era, the dream of reclaiming the Central Plains went away and trends of localizing in the southern China region to survive has risen. In such situation, ‘the greater patriarchal system’ is a abstract and obscure existence and it became a prompt reality to reclaim the clan of ‘the smaller patriarchal system’ that is close to its blood.

한국어

본 논문은 『통전』에 수록된 ‘위인후자(爲人後者)’에 관한 복제논쟁을 분석함으로써 양진시대 대종․소 종 관계의 변주 양상, ‘위인후자’의 복제담론의 실제와 그 제례(制禮) 논리, 종법관념의 변화 등을 고찰한 것이다. 전한 선제시대 ‘위인후자’ 규정에 대한 대성과 문인통한 사이에 벌어진 논전 이래 후한시대에 이 르기까지 대종의 우선성과 종법적 원칙은 지속되었다. 그러나 양진시대에 들어서면 소종에게 지자(支子 )가 없을 경우 ‘대종도 끊어질 수 있다’는 발언이 등장하면서 종족 집단 구성에 있어 ‘소종’의 중요성이 강 조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위인후자’의 복제(服制) 담론에도 반영되어 나타났다. 장담은 ‘소종의 지자로 대 종의 후사를 잇는다’는 ‘위인후’의 종법적 규정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복제를 만들어가고자 했으며, 허 맹도 대종의 후사로 들어갔더라도 소종에 후사가 끊어지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다시 본종으로 돌아와서 친부를 위해 참최 3년으로 추복(追服)해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소종’ 중심의 복제 관념을 보여주었다. ‘소종’ 중심의 복제 관념이 높아지면서 제례(制禮)의 기본정신에도 새로운 변화가 나타났다. ‘칭정(稱情)’ 의 정신과 ‘친(親)’의 논리이다. ‘친’ 중심의 복제관념은 친족 사이의 친애의 정서를 통해 종족을 규합하 려는 것을 보여준다. 후한 말 이래 대종의 ‘수족(收族)’ 기능은 거의 상실되었으며, 동진시대에는 중원회 복의 꿈이 사라지고 생존을 위해 강남 지역에 뿌리를 내리고 토착화하려는 경향이 강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종’은 추상적이고 막연한 존재이며, 혈연적으로 가까운 ‘소종’ 집단의 복원이 시급한 현실의 문제로 부각되었다. 이러한 현실과 인식의 변화가 ‘위인후자’의 복제 담론에도 반영되어 나타났던 것이 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대종’과 ‘소종’ 관계의 변주
 3. ‘위인후자’의 복제 담론과 ‘親’의 논리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용천 Kim, Yongcheun. 대진대학교 역사문화콘텐츠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