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본고는 백제의 서예사료 가운데 <武寧王誌石>, <砂宅智積碑>, <昌王舍利龕銘>, <彌勒寺址金製舍 利奉迎記> 등 당시의 통용 서체인 해서를 중심으로 백제 서예미학의 단면을 조명하였다. 백제는 삼국 가운데 대내외적으로 문화적 교류가 가장 활발한 나라였다. 특히 대외적으로는 중국의 남북조와 수․당 그리고 일본과도 지속적으로 교류하였다. 지리적으로 중국의 남조와는 바닷길을 통해 수차례 교통할 수 있었고, 내륙을 통해서는 고구려와 중국의 북방과 소통할 있었기 때문에 중국의 남 북조와 고구려 등 다양한 문화를 흡수할 수 있는 개방적 여건이었다. 이러한 여건 속에서 백제의 서예문화 또한 특수한 성향으로 치우치지 않고 남북조의 서풍, 고구려의 서풍 등을 다양하게 수용하고 변용하여 백제인들의 심미감수를 반영한 이상적인 서풍을 형성하였다. 비록 정형화된 해서체임에도 불구하고, 단아하고 평정함 속에서도 天眞하고 변화무쌍하여 形似에 구 속되지 않는 忘技巧的 天趣가 두드러졌다. 서예의 기본적인 규범을 준수하면서도 그 속에서 무한한 변화와 운치를 추구한 것이다. 백제의 서예는 북방의 剛健하고 敦厚한 유가적 풍모 위에 남방의 平淡한 天趣自然의 도․불가적 미의 식, 백제인들의 온유한 성품과 주체적 심미의식 등이 조화롭게 혼융되었다. 즉, 유․불․도의 조화와 남 북조 서예문화의 흡수와 변용을 통해 和而不同의 심미를 지향하였다. 백제 서예에 투영된 ‘和’는 ‘양강과 음유의 조화’, ‘개체와 전체의 조화’로 구체화되었다. 즉, 남방의 부 드럽고 유려한 서풍이 주류를 이루면서도 북방의 강건한 기상을 내함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평정 한 통일성을 이루는 가운데서도 글자 하나하나의 변화가 많고 자연스러운 풍모를 지니고 있다. 그래 서 백제의 서예는 筆勢와 神韻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었다. 따라서 백제의 서예는 북방의 강건함과 남방의 부드러움, 유가적 氣象과 도․불가적 平淡의 和諧를 통 해 격조 높은 서예문화를 꽃피웠다. 즉, 백제의 서예는 소박하면서도 품격을 갖추었고, 세련되면서도 절제의 운치가 강하며, 주변국 서체와 유사한 가운데서도 주체적인 風韻을 지님으로써 ‘自得尙和’의 심미경계를 구현하였다.
중국어
本文以韩国百济书法资料中《武宁王志石》、《砂宅智积碑》、《昌王舍利龛铭》、《弥勒寺址金制舍利奉迎记》等当时通用的楷书字体为中心,审视了百济书法美学的一个层面。百济是韩国三国(包括百济、高句丽、新罗)之中,国内外文化交流最为活跃的国家。特别是对外,与南北朝和隋唐时期的中国,并且与日本也持续地进行了交流。百济在地理上与中国的南朝通过海陆进行了多次的交通往来,并且通过内陆能够与高句丽和中国的北方进行交流,所以具备了吸收中国的南北朝和高句丽等多样文化的开放性条件。在这种柔和的条件下,百济的书法文化没有偏向于某种特殊倾向,而是多样地吸纳和交融了中国南北朝的书风与高句丽的书风,从而形成了反映百济人审美感受的理想书风。即使是已经定型了的楷书书体,也不拘束于形似,而是在端雅和平静中带有天真与变幻无常,突出了忘记技巧的天趣。在遵守书法基本规范的同时,追求其中无限的变化和韵致。百济的书法在北方刚健敦厚的儒家风貌上面协调地融合了具有南方平淡自然天趣的佛道审美意识、百济人柔和的品性以及主体性审美意识。也即,可以说是通过吸收和交融儒、佛、道与南北朝书法文化,来向往和而不同的审美。贯穿百济书法的“和”,被具体化为‘阳刚和阴柔的协调’与‘个体和整体的协调’。即,在形成具有南方柔和与流利的主流书风的同时,内涵了北方强健的气质;总体上来看,在形成平静的统一性的同时,每个字都有很多变化和自然的风貌。所以百济的书法形成了笔势与神韵绝妙的协调。因此百济的书法通过北方的强健与南方的柔和、儒家的气质与佛道平淡的和谐,使雅致的书法文化达到了高潮。即,百济的书法在朴素的同时具有风度、在凝练的同时具有强劲的规范韵致、相似的同时具有主体性的风韵,以此体现了‘自得尚和’的审美境界。
목차
Ⅰ. 序論
Ⅱ. 백제 서예의 학문사상적 기반
Ⅲ. 백제 서예의 예술성
Ⅳ. 백제 서예의 심미적 특징
Ⅴ. 結論
<참고문헌>
<中文摘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