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생 사회의 재편에 따른 1910년대 춤 연행의 변동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근대 극장에서 연행된 기생 춤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Changes of Dance Performances during 1910Following Realignment of the “Gisaeng” (Korean Geisha) Society

이정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research paper, we study how the changes in Gisaeng’s activities, which began to undergo change around 1900, influenced dance performances of Gisaengs observed during the first half of 1910s. Around 1900, the Gisaeng groups active during the time began to be referred to as Ipae (Group 1), Ⅱpae (Group 2), and Sampae (Group 3). Behind such titles, a plan to categorize Gisaeng activities into Yegi (Art performers) and Changgi (Prostitutes) was present. Such method became more solidified after the announcement of and in 1908. The categorization of activities between “Gisaeng” and “Changgi,”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order, caused realignment of the Gisaeng society in Korea. “Sampae” referred to Changgis who specialized in prostitution, while “Hyanggi” who engaged in the regions could engage in Gisang activities in the Seoul region as non-registered Gisaengs. Such phenomenon led to changes in dance performances as well. Sampae, who did not previously engage in dances, began to be involved in dance performance activities, while the types of palatial arts increased as Hyanggis engaged in Gisaeng’s activities as non-registered Gisaengs. This was caused by the efforts of Sampae, who fell to the class of prostitutes, to imitate the dances of Gwangi (institutional Gisaeng- Ipae) in order to become true “Gisaeng.” It can also be viewed as the reaction on the part of registered Gisaengs in Seoul area responding to the participation of non-registered Gisaengs in performance activitiesThe reason for the appearance of numerous Gisaeng dance performers during the 1st half of 1910s can first be regarded as the outcome of positive responses from the audience who have viewed the performances at the modern theaters. Meanwhile, it also confirms the efforts on the part of Gisaeng to adapt and respond to changing performance environments, as expressed in dance performances.

한국어

본 논문은 1900년을 전후로 하여 변화된 기생들의 활동 환경이, 1910년대 전반기(前半期)에 나타난 기생의 춤 공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조망한 연구이다. 1900년을 전후해서는 당시에 활 동하던 기생의 부류를 일패‧이패‧삼패로 지칭하는 현상이 나타났는데, 이 명칭의 내면에는 과거와 달 리 ‘예기(藝妓)’와 ‘창기(娼妓)’로 기업(妓業) 활동의 방식을 양분화 하려는 기획이 내재되고 있었다. 이 방식은 1908년 <기생단속령>‧ <창기단속령>의 공포로 더욱 공고화 되어졌다. “기생(藝妓)”/“창기 ”의 활동 구분과 단속령의 시행은 서울 지역의 기생 사회를 재편시켰다. ‘삼패’가 매음(賣淫)만을 전 문으로 하는 ‘창기(娼妓)’로 분류되었고, 지방에서 활동하던 향기(鄕妓)는 서울 지역에서 무부기(無夫 妓)로 기업(妓業) 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 현상은 춤의 연행 양상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춤을 추지 않던 삼패가 춤 공연을 전개하기 시작했고 , ‘무부기(無夫妓)’의 기업 활동 전개로 ‘정재(궁중무용)’ 종목의 증가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여기에는 “창기”의 신분으로 전락한 삼패가 “기생”이 되기 위해 관기(官妓-일패)들의 춤을 모방했던 배경이 있 었고, 같은 ‘관기 출신’인 무부기가 기업 활동에 합류하자 이를 의식한 유부기-경기(京妓)들이 반응이 내재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1910년대 전반기에 기생 춤 공연 기사가 다수 등장한 이유는 일차적으로 근대 극장에서 춤을 관람한 대중들에게 높은 호응을 얻어냈다는 것으로 풀이될 수 있다. 하지만 당시 기생들 스스로 변화된 활동 환경에 적응하고 타개해 나가고자 했던 면모가 춤 연행 양상에도 표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대한제국 시기 서울 기생 사회의 재편
 Ⅲ. 삼패와 향기(鄕妓)의 기생 활동
  1. 삼패 기생의 극장 공연 활동
  2. 지방 기생(鄕妓)의 무부기(無夫妓) 활동
 Ⅳ. 삼패와 무부기의 활동으로 인한 1910년대 춤 공연의 변동 양상
  1. 삼패 시곡기생들의 춤 공연 등장과 경기(京妓) 춤의 흥행
  2. 무부기 활동의 공식화와 정재의 부상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정노 Lee, Jeong-Noh.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