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왕릉 수복방(守僕房)의 건축형식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Architectural form of Subokbang

김왕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ubokbang (janitor's quarter of royal tomb) of Choseon royal tomb is also called as Sujikbang and it was usually located at the southeastern side of Jeongjagak and used as a stand-by and preparation place of ritual administrator at the time of memorial service (ancestral rites). At the southwestern side of Jeongjagak, Suragan (royal kitchen) is located being symmetric with Subokbang and these three buildings together with Jeongjagak are central buildings of ancestral rites. At present, most of Jeongjagak remains still but Suragan and Subokbang were vanished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and only its foundation remains excepting a few and it is hard to find its original form in partially remained Suragan and Subokbang also as it was transformed during modern times. Recently, Suragan and Subokbang were restored through excavation and Subokbang being restored for the first time is Hyeon-reung that is royal tomb of 5th King Moonjong and Queen Hyeondeok. Besides, Chang-reung of Yejong, Gangreung of Myeongjong, Ikreung of Queen Inhyeon who was original queen of Sukjong, Hyereung of Queen Daneui who was original queen of Gyeongjong and Wonreung of Yongjo are completed of its excavation and under design stage of restoration. After Imjin-woiran (Japanese invasion to Chosen Dynasty during Imjin year), Subokbang was recorded in "Sanreung-Dogam-Euigwe" and when analyzing its contents, scale and style of building could be identified clearly but in case of Subokbang during first half of Choseon era, there is no other way but to rely on excavation. However, Subokbang was remodelled and modified during late Choseon era in many cases. Therefore, its restoration is compelled to be performed based on excavated remains of late Choseon but remains such as excavated Jeoksim and Choseok are not sufficient to identify its detailed superstructure excepting scale and location. And so, in this study,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Eui-gwe, chronological transition process and typical type of Subokbang were considered.

한국어

조선왕릉의 수복방(守僕房)은 수직방(守直房)이라고도 하며 통상 정자각(丁字閣) 동남쪽에 놓여 제사 때 제관의 대기와 준비 장소로 사용되는 건물이다. 수복방과 대칭으로 정자각 서남쪽에는 수라간(水剌間)이 놓이는데 정자각과 더불어 이 세 건물은 제사의 중심건물이다. 현재 정자각은 대부분 남아 있지만 수라간과 수복방은 일제강점기 때 사라지고 터만 남아 있는 것이 많으며 일부 남아 있는 수라간과 수복방도 근대기에 변형되어 원형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에는 발굴을 통해 수라간과 수복방을 복원하고 있으며 최초로 복원된 수복방은 제5대 문종과 현덕왕후의 능인 현릉(顯陵)이다. 이외에 예종의 창릉(昌陵)과 명종의 강릉(康陵), 숙종의 원비 인경왕후의 익릉(翼陵), 경종 원비 단의왕후의 혜릉(惠陵), 영조의 원릉(元陵)이 발굴을 마치고 복원을 위한 설계 단계에 있다. 임진왜란 이후 수복방은 “산릉도감의궤(山陵都監儀軌)”라는 기록이 남아 있어서 그 내용을 분석하면 건물의 규모와 형식을 명확히 알 수 있으나 조선전기는 발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조선전기라고 할지라도 조선후기에 개축되면서 변형된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복원은 조선후기의 발굴된 유적을 근거로 할 수 밖에 없는데 발굴된 적심과 초석 정도의 유적으로는 건물의 규모와 위치 정도를 알 수 있을 뿐 구체적인 상부 형태를 파악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의궤내용을 분석하여 수복방의 시대적인 변천과정과 대표유형에 대한 원형을 고찰하였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및 범위
 Ⅱ. 건축형식
  1. 규모와 평면형식
  2. 가구 및 구조
  3. 창호 및 입면
  4. 도배와 포진
  5. 지붕과 기와
 Ⅲ. 건축형식의 변천과 특징
  1. 조선 전·후기의 변화
  2. 건축 구조적 특징
  3. 건축 장식적 특징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왕직 Kim, Wang-jik. 명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