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아-브랜드 이미지 일치성과 기능적 일치성이 브랜드사랑과 브랜드태도 및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Self-Brand Image Congruity and Functional Congruity on Brand Love, Brand Attitude and Consumers' Responses

김수형, 이상환, 임태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rand love is a new marketing construct that helps explain and predict desirable post-consumption behaviors. However, brand love is more recently investigated and relatively less researc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self-brand image congruity and functional congruity influences on brand love, brand attitude and consumers' responses. self-brand image congruity consist of actual-self congruity, ideal-self congruity, social-self congruity.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on individuals who purchased smart phone. We used a LISREL 8.70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order to verify the proposed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self congruity and functional congruity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love. However, actual-self congruity and ideal-self congruity about brand love did not have significant results. Second, ideal-self congruity and functional congruity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 However, actual-self congruity and social- self congruity about brand attitude did not have significant results. Third, brand love and brand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and word of mouth.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potential marketing strategies of products. Last, the limitations of research and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한국어

브랜드사랑은 특정 브랜드에 만족한 소비자가 브랜드에 대해 가지는 열정적 감정의 애착 정도로써, 소비자의 바람직한 소비행동 변화를 설명하고 예측하게 하는 새로운 마케팅 개념이다. 브랜드사랑은 최근 들어 심도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브랜드와 소비자의 감성적 관계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기에 앞으로 마케팅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자아-브랜드 이미지 일치성과 기능적 일치성이 브랜드사랑, 브랜드태도와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실증적 분석을 하였는데, 자아-브랜드 이미지 일치성은 실제적 자아일치성, 이상적 자아일치성, 사회적 자아일치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자아일치성은 브랜드사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적 자아일치성, 이상적 자아일치성은 브랜드사랑에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기능적 일치성은 브랜드사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상적 자아일치성은 브랜드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적 자아일치성, 사회적 자아일치성은 브랜드태도에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기능적 일치성은 브랜드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브랜드사랑과 브랜드태도는 브랜드 충성도와 구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자아-브랜드 이미지 일치성
  2. 기능적 일치성
  3. 브랜드사랑
  4. 브랜드태도
  5. 충성도
  6. 구전
 III.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1. 연구모형
  2. 자아-브랜드 이미지 일치성과 브랜드사랑의 관계에 관한 가설
  3. 기능적 일치성과 브랜드사랑의 관계에 관한 가설
  4. 자아-브랜드 이미지 일치성과 브랜드태도와의 관계에 관한 가설
  5. 기능적 일치성과 브랜드태도와의 관계에 관한 가설
  6. 브랜드사랑과 충성도, 구전의 관계에 관한 가설
  7. 브랜드태도와 충성도, 구전의 관계에 관한 가설
 IV. 조사방법과 자료분석
  1. 설문지 구성
  2. 조사의 표본설계 및 자료수집
  3. 자료 분석 방법
  4. 표본의 인구통계적 특성
  5. 수렴타당성과 판별타당성 분석
 V. 가설검증과 결과 논의
  1. 연구가설의 검증
  2. 연구결과 논의
 VI.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수형 Kim, Su-Hyeong. 경북대학교 대학원 경영학부 석사
  • 이상환 Lee, Sang-Hwan. 경북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 임태선 Lim, Tae-Seon. 경북대학교 대학원 경여학부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