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Group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Evidences of Effectiveness for Social Skills Group

원문정보

스펙트럼자폐장애 아동을 위한 그룹 개입

Kim, Joon Kyoung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aving a child with an autism spectrum disorder can have a profound effect on family life. Since thesedisorders affect the ability of children to have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y may have a hard time bonding withother family members. In addition, a great amount of stress can be placed on family members, particularly thosewho are involved in daily care of the child. Often one of the parents has to give up their job to take care of thechild and help with all the therapies, and because of the difficulty and cost of finding qualified help. Mostchildren with autism require many expensive therapies. Many of them are not covered by insurance, or arelimited. Many families end up taking out loans or a second mortgage on their home to pay for all the therapies. In order to minimize the financial burden for parents and to maximize the treatment effectiveness for the child,practitioners must keep following two components in preparing for intervention as evidence-based practicesuggests: 1) Practitioners make systematic use of clinically relevant research to select accurate and precisediagnostic tests, identify prognostic markers, and assess the potential effectiveness and safety of different kinds oftreatments; 2) Practitioners are expected to draw from multiple sources for information to inform their treatmentdecisions. To ensure the intervention for a child with Autism Spectrum is based on the best evidence fromwell-conducted research, fourteen articles published in U.S journals were carefully selected and reviewed based onthe criteria. The results of review were summarized in a table to inform the practitioners and parents of whattype of intervention model and skills/techniques were proven to be the most effective.

한국어

스펙트럼자폐 장애를 가진 아이가 있는 가정은 전반적인 가족생활에 대해 많은 영향이 미칠 수 있다. 이 질환은 다 른 사람과의 상호관계를 맺는 아이들의 능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족 구성원들 모두가 겪는 힘든 시간적 결합 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아이의 일상 관리에참여하는 사람, 특히 응집력이 큰 가족 구성원 등은 더욱 스트레스에 노출 될 수 있다. 스펙트럼자폐 장애 아동을 둔 대부분의 부모들은 고가의 치료비를 필요로 하는데, 종종 부모 중 하나는 모든 치료와 아이를 돌보기 위하여 자신의 일을 포기하기도 하며, 더욱이 아이의 치료를 위해 자격을 갖춘 전문가에 지불할 비용 을 마련해야하는 경제적 어려움에 처해 있다. 따라서 많은 가족이 고가의 치료비용을 지불하기 위해 자신의 집을 담 보로 대출을 받기도 하지만 그들 중 대부분은 경제적 어려움으로 보험이 적용되지 않거나 제한되는 어려움이있다. 이에 본 논문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족과 특히 부모를 위한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고 자녀에 대한 치료 효과를 극 대화하기 위해, 1990년에서 2014년 사이에 발표되었던 논문 가운데1) 자폐증, 2) 사회적 기술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을위한 그룹의 개입' 3) 치료, 중재, 또는교육, 4) 효과, 5) 증거 기반의 영역에서 위와 같은 용어의 다양한 조합 을 사용하여 확인된 연구의 문헌 검토와 이제까지 실시되었던 스펙트럼자폐 장애 아동을 위한 전문실무자들의 실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효과적 증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위의 논문들을 분석한 증거 기반실천에서 알 수 있듯이 개 입을 준비하는데 필요한 두 가지 중요한 구성 요소를 다음과 같이제안한다: 1) 정확한 진단 테스트, 예후 마커로 잠 재적 효과와 치료의 안전성 평가 등을 식별하여 진료의 정확한 선택과 임상적 연구를 체계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2) 실무자는 정보가자신의 치료 결정을 알리기 위해 여러 소스에서 그릴 것으로 예상된다. 요약 제시된 <표 1>은 자폐증 스펙트럼을 가진 아동에 대한 집단 개입을 보장하기 위한 연구에서 미국의 저널에 발 표 된 논문 가운데 최고의 증거를 기반으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입증된 14개 논문을 분석한 한 결과이다. 따라서 검토의 결과로 개입 모델과 기술의 유형을밝힘으로 실천현장에서 치료에 애쓰는 전문실무자들과 부모들에게 도움 을 주고자 한다.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Ⅲ. Theory
  1. Group Interventions and Techniques
  2. Effectiveness of Group Interventions
  3. Evidence of Effectiveness for Social Skills Groups
 Ⅳ. Conclusion
 References
 < 국문 요약 >

저자정보

  • Kim, Joon Kyoung 김준경. Namseou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