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승법계도』에 나타난 실천사상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ractical Thought of Ilseoungbeopgye-do

장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ome scholars argue that Uisang(義相, 625-702)’s Korean hwaeom (C. huayen)thought is more ‘practical’ than Chinese hwaeom. This paper examines severalpractical characteristics from the organization and thought of Uisang’s majorwork, theIlseoungbeopgye-do(一乘法界圖) or the Chart of the Dharma-world ofthe One Vehicle.This paper elucidates four practical characteristics found inUisang’s Ilseoungbeopgye-do. The first is practical orientation, which is the thought ofIlseoung-Bobeop(一乘普法) or one vehicle(一乘, S. ekayana)as the universal dharma, whichharmonizes the highest teaching of the hwaeom one vehicle with the universaldharma originated in ‘Three Stages Teaching’(三階敎, Sanjie jiao). Through thisthought Uisang makes the practical orientation clear and concentrates allteachings such as five teachings and the five vehicles on the teaching of onevehicle. Secondly the thought of dharma-nature nature-arising(法性性起), means theoriginal nature arising itself without depending on anything. This presents thepractical ground on Uisang’s hwaeom thought. Nature-arising means theappearance of tathagata(如來)and the manifestation of the dharma-world(法界,dharma-dhātu)through ocean seal samādhi(海印三昧, S. sāgaramudrā-samādhi) found inthe Flower Adornment Sutraor the Avatamsaka-sūtra. Zhiyan’s(智儼)systematized theory of dependent co-arising of the dharmaworld consists of two categories: ‘defiled co-arising’(染門緣起) and ‘pure coarising’(淨門緣起). Defiled co-arising is relevant to the three vehicles( 三乘, S. triyana)and pure co-arising is relevant to one vehicles. Uisang goes a stepfurther from Zhiyan’s theory by concentrating on nature-arising as well aspairing ‘nature-arising’ and ‘dependent co-arising.’ He focuses on the practicalmeaning from the standpoint of nature-arising or non-discriminating middleway. Thirdly in the practical step, Uisang propos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of ten stages(十地)or bodhisattva’ s typical practice steps through the sixcharacteristics of conditioned phenomena(六相)that is one of traditionaltheories of Di Lun school(地論宗). Through these steps, a practitioner canachieve all stages if he is one with his original nature and practices non-doingregardless of the stages. Finally this is about the practical way. In the process attaining Buddhahoodand renouncing the discriminating tendency, Uisang says every practitioner‘Buddha originated from past’(舊來佛), the viewpoint of non- discriminatingmiddle way or ‘middle way originated from past.’(舊來中道)So everypractitioner can attain Buddhahood and renounce the discriminating tendencyin every moment and every moment. In conclusion, the practical characteristic of Uisang’s hwaeom thought isthe practice based on nature-arising which does not diverge from ocean sealsamādhi and dharma-nature. This practice is doing nothing but doingeverything and though doing everything doing noting. I argue that by focusingon the original nature, this practice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Buddhism’spractical aspect.

한국어

한국화엄사상은 한국불교의 실천적 성격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본고에서는의상(義相, 625~702)의 『일승법계도』 에 나타난 실천적 특징과 중심사상을 살펴봄으로써 한국화엄사상의 실천적 근거와 특징은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먼저 실천의 지향을 분명히 하고 있는 것이 일승보법(一乘普法)사상이다. 의상은 삼계교(三階敎)의 보법(普法)사상 을 수용하여 화엄일승의 가르침에 접목시킴으로써 그가 지향하는 실천의 방향을 명확히 하고 있다. 이로써 모든 가 르침[五敎]과 모든 근기[五乘]를 일승으로 귀결시키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실천의 근거로서 법성성기(法性性起 )사상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법성은 『화엄경』의 해인삼매에 비친 여래출현, 본성현현의 모습으로서 곧 ‘성기’ 를 뜻한다. 지엄(智儼)이 법계연기설을 체계화할 때, 염문연기와 정문연기를 각각 삼승과 일승에 대비시켜 일승연기 를 강조하고 있는 반면에, 의상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성기와 연기를 병립함으로써 성기 그 자체를 드러내는데 집중 하였다. 즉 성기의 관점에서 무분별중도의 실천[行門]을 드러내는데 집중하고 있다. 일승의 실천단계[수행계위]에서는 지론종의 육상(六相)을 수용하여 ‘차제의 십지’를 넘어서 ‘원융의 십지(계위)’[圓 融十地]를 주장하여 실천의 폭을 크게 넓힘으로써 실제 수행자가 어느 지위에 있든지 각자의 지위에서 ‘자위부동( 自位不動)’한채로 모든 지위를 성취하게 됨을 밝히고 있다. 그 실천방법에 있어서도 성불(成佛)과 단혹(斷惑)의 문 제는 ‘구래부동’의 무분별중도[舊來中道]로서 제시되고 있다. 즉 수행자 스스로가 ‘구래불’이며 ‘법성’임을 자각함으로써 찰나찰나[念念]번뇌를 끊고, 부처를 성취하게 됨을 밝히 고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의상화엄사상의 실천적 특징은 한마디로 ‘성기적 실천’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성기적 실천이란 일승보법 을 견문하고 발심한 수행자가 스스로 법성이며 구래불임을 잊지 않고 행하는 무분별중도의 실천이라 할 수 있다. 이 때의 실천은 함이 없지만 하지 않음이 없는 실천이요, 다 하지만 다함이 없는 실천으로서 불교의 실천적 의의가 만 개한 모습이라 할 것이다.

목차

국문 초록
 Ⅰ. 서론-의상화엄사상의 실천적 경향
 Ⅱ. 『일승법계도』의 실천적 구조와 특징
 Ⅲ. 『일승법계도』의 실천체계와 중심사상
  1. 실천의 지향-일승보법(一乘普法)
  2. 실천의 근거-법성성기(法性性起)
  3. 실천의 단계-원융십지(圓融十地)
  4. 실천의 방법-구래중도(舊來中道)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진영 Jin, Young-Jang.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HK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