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신임 소방대원의 직무관련 출동 스트레스와 대처
초록
영어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duty-related incidental stress, coping method, and stressfactors in 133 new firefighter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administrated to 133 new firefighters between April andMay 2010. It consisted of 33 and 62 items concerning duty-related incident stress and coping methods,respectively.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t-test,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correlationcoefficient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New firefighters experienced the most stress when inappropriately dispatched. Duty-relatedincidental stress correlated with active (r = .420, p < .001) and passive coping (r = .450, p < .001). Alsoactive coping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passive coping (r = .890, p < .001). Influencing factors ofduty-related incidental stress were passive coping (t = 2.12, p < .05), experience of having a co-workerin a dangerous situation (t = 3.30, p < .001), having less than 6 months of work experience (t = 2.30, p< .05), and experience of having oneself in a dangerous situation (t = 2.05, p < .05). Conclusion: New firefighters need to be provided with training on active coping to prevent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 and, social support immediately after an inappropriate and stressfuldispatch.
한국어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목적은 신임소방대원 직무 관련 출동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직무관련 출동 스트레스의 영향요 인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 직무관련 출동 스트레스원은 Beaton 등(1998)이 사용한 33개 문항의 VAS(Visual Analogue Scale)을사용 하여 측정하였고 대처 방식 척도는 이장호와 김정희(1988)의 62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자료 는 SPSS WIN 14.0 program을 이용하여 t -test와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과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연구 결과: 잘못된 신고로 인한 출동이 가장 빈번하게 노출되는 스트레스원(95건, 71.4%)이고 이때 가장 많은 스트 레스(3.84)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관련 출동 스트레스는 적극적 대처(r = .420, p < .001)와 소극적 대처(r = .450, p < .001)에서, 적극적 대처는 소극적 대처(r = .890, p <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강한 상관관계를나타났 다. 직무관련 출동 스트레스 영향요인은 수동적 대처(t = 2.12, p < .05), 동료가 부상이나 죽음위험을 경험을 한 경 우(t = 3.30, p < .001), 근무기간이 6개월 이내(t = -2.30, p < .05), 본인이 부상이나 죽음경험을 한 경우(t = 2.05, p < .05)로 나타났다. 결 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행되지 않도록 적극적 대처에 대한 교육과 중재의 제도개선이 요구되고 사회적 지지와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1. Subject and data gathering
2. Instrument and data analysis
Ⅲ. Results
1. The duty-related incident stress of general characteristics
2. The frequency and stress degree of the duty-related incident stress
3. Correlation between the dutyrelatedincident stress and active/passive coping
4. Effective variable of the dutyrelatedincident stres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