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日本語學

「ものだから」の意味機能 - 「もの」の意味変化の効果を中心に -

원문정보

Semantic function of “Monodakara” ― Focusing on effect of semantic change that “Mono” represents ―

玄仙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it finds out syntactic condition which accepts “Monodakara” as a compound particle in order to clarify semantic function of “Monodakara” and grammatical test has been applied for explaining nuance of “excuse, defence, criticism” that occurs in sentence of “Monodakara”. “Monodakara” is only accepted as a compound particle in sentence of “Q(explanation) Monodakara” which has no subject P and at the same time it comes to have meanings of “excuse, defence, criticism” in relations between subordinate clause and main clause. “Monodakara” accepted as a compound particle is used in sentence which mainly explains one’ s behavior or reason about a case related to oneself. In case “Monodakara” is being used, it cannot be used with subject “I” in subordinate clause and it might have an effect which tells not like one’s opinion. Due to this effect “Monodakara” is different with “Kara”. “Monodakara” is used not in sentences of simply showing reason and cause of main clause but in sentence of expressing nuance of “excuse, defence, criticism”. 

한국어

본고에서는 “모노다카라”의 의미기능을 밝히기 위해 “모노다카라”를 복합조사로서 인정할 수 있는 구문적 조건을 알아보고, “모노다카라”문에서 발생하는 “핑계, 변호, 비난”의 뉘앙스를 설명하기 위 한 문법적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모노다카라”문은 주제P의 유무를 기준으로 ‘PはQものだから’문과 ‘Qものだから’문으로 나눌 수 있 으며, 주제P를 가지지 않는 ‘Qものだから’ 구문에서의 “모노다카라”만이 복합조사로서 인정된다. 또 한 ‘Qものだから’문의 종속절과 주절(“모노다카라”가 종조사로서 사용되고 있는 경우는 “모노다카 라”문의 선행문)의 관계에서 “핑계, 변호, 비난”하는 의미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복합조사로서 인정되는 경우의 “모노다카라”는 주로 자신의 행동이나 자신과 관련된 사건에 대해 이유를 설명하는 문, 사태가 발생한 이유를 자신(화자)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문에서 사용되는 데, “모노다카라”가 사용될 경우 종속절에서는 주제어 “나는(私は)”과는 같이 쓰일 수 없으며, 이로 인해 “모노다카라”가 자신의 의견이 아닌 것처럼 말하는 의미변화의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모노다카라”를 사용함으로써 주절과 종속절의 주제가 다른 것처럼 표현되어, 단순하게 주 절의 이유나 원인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의견이 아닌 것처럼 책임전가를 하고 있는 듯 보 이게 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모노다카라”는 “핑계, 변호, 비난”의 뉘앙스를 표현하는 문장에서 사 용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일본어

本稿では、「ものだから」の意味機能を明らかにするため、「ものだから」を複合助詞と捉えることができる構文的条件と、「ものだから」文で生じる「言い訳、弁解、非難」のニュアンスを説明するための文法的テストを行った。「ものだから」文は「PはQものだから」と、「Qものだから」に分けられ、「Qものだから」構文での「ものだから」のみが、複合助詞として捉えることができた。また、「Qものだから」文の従属節と主節(「ものだから」が終助詞として使われている場合は「ものだから」文の先行文)の関係で「言い訳、弁解、非難」のニュアンスが生じることがわかった。また、複合助詞としての「ものだから」は、主に自分のことについて理由を述べる文、事態が発生した理由を自分(話し手)の観点から述べる文で使われるにもかかわらず、「私は」とは共起できず、自分のこと(意見)ではないように述べる意味変化の効果が表われた。すなわち、「ものだから」を使うことにより、主節と従属節の主題が異なるように捉え、「ものだから」節は、単なる主節の理由の提示だけではなく、自分の意見ではないように、責任を他に転嫁していると捉えられる。そのため、「ものだから」は「言い訳・弁解・非難」のニュアンスを持つ文に使われるのであると考えられる。

목차

<要旨>
 Ⅰ.はじめに 
 Ⅱ.先行研究
 Ⅲ.考察
  Ⅲ.1 「ものだから」構文の分類
  Ⅲ.2 「ものだから」の意味変化の効果
 Ⅳ.まとめ
 参考文献
 <要旨>

저자정보

  • 玄仙令 현선령. 京畿大学 日語日文学科 非常勤講師、現代日本語文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