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비대칭적 정보 하의 자본시장 균형에서 연기옵션이 있는 기업의 투자결정

원문정보

Investment Decisions by Firms with an Option to Wait to Invest in Capital Market Equilibrium under Asymmetric Information

박래수, 윤석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an option to wait to invest on a firm's financing and investment decisions when capital markets suffer from asymmetric information regarding the profitability of the firm's investment project. We focus on the role of such an option available to the firm as a means to avoid mis-pricing in the spot capital markets. Under symmetric information, financing becomes irrelevant as the firm makes its investment decision efficiently. Here, the option to wait functions only as a means of minimizing its burden of capital cost at the expense of the first mover's advantage. Under asymmetric information, we show that relatively undervalued firms prefer debt financing whereas relatively overvalued ones prefer equity financing. This holds because an undervalued firm can minimize loss from undervaluation by issuing debt whereas an overvalued firm can maximize benefit from overvaluation by issuing equity. As a result, the equity market is always populated by overvalued firms and hence is bound to fail. In equilibrium, therefore, only debt market may open. In equilibrium, firms' behavior goes as follows. A firm with a superior project defers investment in order to avoid mis-pricing applicable in the debt market, anticipating that informational asymmetry will disappear in the next period so that it can finance at a fair market price based on its true profitability. A firm with an inferior project gives up investment because even the maximum payoff from investment is no greater than the debt obligation. All the remaining firms with medium quality projects make investments by raising funds in the debt market.

한국어

본 논문은 비대칭적 정보 하의 자본시장 균형에서 연기옵션이 있는 기업의 투자와 조달 결정을 논 의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개별기업의 투자프로젝트 수익성이 사적 정보이고 투자 연기가 가능 하며 현재투자가 선점효과를 가져오는 모형에서 기업의 투자시점과 조달방식의 선택 그리고 자본 시장의 균형을 분석한다. 먼저 완전정보 하에서는, MM 정리가 성립하여 기업가치가 조달구조와 무관하며, 연기옵션의 존 재는 투자 및 조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비대칭적 정보 하에서는, 기업의 투자와 조달이 연기옵션의 존재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균 형에서 최우량 기업들은 현물 자본시장의 저평가를 피하고자 선점효과를 포기하고 투자를 연기한 다. 따라서 현물 자본시장에는 최우량 미만의 기업들이 참여한다. 이 때 두 가지 이유로 인해 주식 시장이 채권시장에 의해 지배당한다. 첫째, 평균가격을 전제로, 저평가된 기업은 채권발행을 선호 하고 고평가된 기업은 주식발행을 선호한다. 저평가 기업의 경우 채권발행이 주식발행보다 저평 가 손실이 작은 반면, 고평가 기업의 경우는 주식발행이 채권발행보다 고평가 이득이 크기 때문이 다. 둘째, 채권시장에서는 원리금 상환의무라는 자율규제기능으로 인해 매우 불량한 기업의 시장참가 가 억제되지만, 주식시장에는 이런 기능이 없어서 최소한의 수익성 확보가 어렵게 된다. 자본시장의 균형에서 최우량 기업들이 연기옵션을 행사함으로써 현재 투자는 줄고 미래 투자는 늘어난다. 이로 인해 현물 채권시장의 발행금리가 상승하여 매우 불량한 기업들이 비효율적 투자 를 억제하는 긍정적인 결과가 초래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모형
 Ⅲ. 시점 1에서의 투자와 조달
 Ⅳ. 완전정보 하에서의 자본시장의 균형
 Ⅴ. 비대칭적 정보와 자본시장의 균형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래수 Rae Soo Park. 숙명여대 경영학부 부교수
  • 윤석헌 Suk Heun Yoon. 한림대 재무금융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