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코스닥 발행주식시장 및 유통시장의 정보전이 효과와 동시상장 효과 대한 실증 연구

원문정보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Bundling and Information Spillover from the KOSDAQ Primary and Secondary Markets

최문수, 전수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 of bundling and information spillover from the KOSDAQ primary and secondary markets on the IPO pricing process. Particularly, this study explores how the bundling and information spillover affect the determination of the final offer price and underpricing of KOSDAQ IPOs. Results indicate that the information spillover and bundling from the primary and secondary marekts indeed decrease the marketing and information production expenditures of the IPO by increasing the final offer price and thereby reduding underpricing. This research also examines the effect of information spillover and bundling on the IPO pricing in the case of pioneering IPO firms. The empirical result suggests that pioneering IPO firms tend to have lower offer price and larger underpricing than their followers. This confirms the existence of the effect of bundling and information spillover from the KOSDAQ primary and secondary markets. Th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issuers implicitly bundling offerings to achieve more equitable internalization of information production costs and thereby preventing coordination failures in the primary IPO market.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기업이 신규공개 시에 발행주식시장과 발행 후 유통시장에서의 정보가 최종공모가격 결정과 저평가를 나타내는 초기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코스닥시장의 신규등록기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특히 발행주식시장으로부터 정보전이가 발행비용(저평가)의 감소를 가져온다는 정보전이 효과와 이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주관회사가 가능한 한 여러 신규공모를 동시에 시도하려 한다는 동시상장(bundling) 효과도 함께 연구하였다. 먼저 일정기간 후에 처음으로 단독 상장되는 선발 IPO 기업의 경우를 통해서 정보전이 효과와 동시상장 효과를 다른 각도에서 검증하였다.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선발 IPO의 경우에는 정보전이 효과와 동시상장 효과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발행비용(저평가)이 높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지 않았다. 또한 수요예측 기간 중에 타 IPO 기업들이 결정한 최종공모가격과 최종공모가격 조정정도가 현재 진행 중인 기업의 최종공모가격과 최종공모가격 조정정도에 발행비용(저평가)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발행주식시장의 정보전이 효과가 존재하며 이러한 정보전이 효과가 여러 기업이 동시에 상장될 때 극대화된다는 동시상장 효과도 국내 발행시장에 존재함을 본 논문은 보여주고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문헌연구 및 정보전이와 동시상장 효과
 Ⅲ. 실증분석 모형 설계
  1. 최종공모가격 조정
  2. 초기성과
 Ⅳ. 표본 분석
  1. 자료
  2. 신규공모주의 최종공모가격 조정정도 및 초기성과
  3. 동시상장 기업과 선발 IPO기업
  4. 수요예측 기간 중의 발행주식시장 및 유통주식시장 상황
 V. 실증분석 결과
  1. 최종공모가격 조정
  2. 초기성과(저평가)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문수 Mun-Soo Choi. 숭실대학교 경상대학
  • 전수영 Soo-Young Jun. 숭실대학교 대학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