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구조변화, 정치적 사건들과 주식시장 : 1980년 이후 우리나라의 경험

원문정보

Structural Breaks, Politics, and the Stock Market : the Korean Experience after 1980

방승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discussed how abrupt changes of the stock price index could be linked to uncertainties in the political events in Korea. Using the presidential regimes as proxies for political uncertainty, I first tested for the question of whether return generating processes of the respective presidential regime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regimes. Then, using the logic of sequential testing procedures, I investigated the existence of the possible break points in the stock index return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is confirmed to have greatly influenced the return and volatility generating processes of the Korean stock market. Second, when the model incorporated unexpected changes of macroeconomic variables, I found that the structural break points had existed several months earlier than the official announcement of the beginning of the IMF-controlled period. Third, I also found that the break points occurred around a point of presidential regime changes, which was taken as partial evidence for the impact of the political factors on the behavior of the stock market.

한국어

본 논문은 정치적 요인들의 주식시장에 대한 영향력을 구조변화의 틀 하에서 탐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구체적으로 첫째, 대통령 재임기간을 하위기간으로 상정하고 정부의 교체시점을 기준으로 각 하위기간 별로 주가지수 수익률 행태의 유의적인 차이가 존재하는가를 살펴보고 둘째, 주가지수 수익률 행태의 구조변화시점을 모른다는 전제하에 순차적 검정의 논리를 이용하여 구조변화시점을 찾아내고자 시도하였다. 검정 결과, (1) 일차적으로 경제적 요인이라 할 수 있는 금융위기의 주식시장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주가 지수 수익률 생성모형에 거시경제변수의 예상치 못한 부분을 포함시켰을 경우에는 추정된 구조변화시점이 실제 IMF 관리 체제 시작의 공식발표 수개월 전에 존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3) 주가 지수 수익률의 행태가 정권의 이양과 시작 시점이란 정치적 영향력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는 경우도 존재함을 일부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요약
 1. 연구의 목적
 II. 연구 방법론과 자료
  1. 구조 변화(structural breaks) 의 정의
  2. 구조 변화 시점의 추정 방식
  3. 재무 경제학상 의의 : 정치적 불확실성의 주식 시장에 대한 영향
  4. 거시 경제변수의 선정과 모형에의 포함
  5. 구조 변화 시점의 추정 모형 : 거시경제변수의 영향럭을 고려한 모형
  6. 첫 번째 test : 대통령 이임, 취임 시기를 구조 변화점으로 간주했을 경우
  7. 두 번째 test : 대통령 이취임 시기를 구조 변화점으로 간주하고 거시경제변수를 추가했을 경우
 III. 실증 분석 결과
  1. 연구자료
  2. 기초적 분석 : 기술 통계량과 그래프 분석
  3. 대통령 재임기간별로 본 검정 결과 : 가설 1 에서 가실 6까지의 검정
  4. 구조변화 시점의 추정 결과
 V. 논문의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방승욱 Seungwook Bahng. 한동대학교 경영경제학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