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교양영어 교육의 보조프로그램 효과 연구 -배재대학교 말하기 및 쓰기 지도실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Effects of Back-Up Program in Liberal Arts English Education - Based on the Speaking and Writing Labs of Pai Chai Univers

김재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Back-Up Programs such as Speaking Laboratory (Speaking Lab) and Writing Laboratory (Writing Lab) on college students' pronunciation and their writing. The participants of Speaking Lab were 140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an English class and they were assigned to two different groups, Control Group and Experiment Group. The participants of Writing Lab were 59 university students were assigned to two different groups according to different settings as well. A pretest was given in Week 2, and the treatments lasted for 7 weeks from Week 2 through Week 8. A posttest was administered in Week 8 to assess the learners’ speaking and writing progress. For pronunciation, the mean number of Experimen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For writing, the mean numbers of Experiment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in the areas of T-unit and holistic assessment. However, the results of the posttest showed that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 Group in all dimensions of speaking and writing. The analyse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s revealed that the treatment groups which used the speaking and writing labs perceived Back-Up programs as helpful and effective ways for enhancing their speaking and writing ability. In conclusion, it may be inferred that the Back-Up Program enhances learners’ performance in pronunciation, T-unit, and holistic assessment.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교양영어의 말하기와 쓰기의 수업 효과를 높이기 위해 수업을 보조하는 보조프로그램인 말하기와 쓰기 지도실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말하기 지도실 활용 실험반과 교재 활용 통제반 140명 그리고 쓰기 지도실 활용 실험반과 교재 활용 통제반 59명을 대상으로 보조프로그램을 활용하게 하고 지도실 활용 집단과 지도실을 활용하지 않은 집단 간의 향상도 차이가 있는지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말하기에서는 말하기 지도실 활용 실험반과 교재 활용 통제반 모두에서 사후 발음의 평균이 모두 향상되었으나 말하기 지도실을 활용한 집단이 약 2배로 월등히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쓰기에서는 쓰기 지도실 활용 실험반과 교재 활용 통제반 모두에서 T-unit의 평균이 모두 향상되었지만 두 집단 중 쓰기 지도실을 활용한 집단의 평균이 크게 향상됨을 보였다. 또한 쓰기에서는 총괄 점수 평균이 두 집단 모두 향상되었지만 두 집단 중 쓰기 지도실을 활용한 집단이 평균점수 향상이 컸다. 그러나 말하기와 쓰기 지도실 활용 집단 공히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의 향상을 가져오지 못했다. 설문과 개별 인터뷰를 통해 알아 본 말하기 지도실과 쓰기 지도실에 대한 인식을 알아 보았다. 지도실에 대한 장단점이 모두 있었으나 장점에 대한 의견이 많아 보조프로그램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아울러 더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본론
 III.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교육적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재경 Kim, Jae Kyung. 배재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