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특집] 대학 글쓰기 교육의 교수법 연구

‌서평쓰기를 위한 읽기 쓰기 통합교육 수업 사례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for Reading and Writing Integrated Education for the Book Review

심지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samples of writing class for the book review which was conducted during the culture class. By suggesting how Reading and Writing in writing book review comes true, the report is showing justification which Reading and Writing Integrated Education has. Book review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it can improve students' reading skill through reading and promote active semantic composition through writing. Nevertheless, There is a certain limit to teach students book review which is progressed with two parts integrated in the university. That is because the class should be proceeded after students' reading. Due to freshmen who are poor readers, guide line of the book review for Reading and Writing is as follows; choosing books → reading books → discussing → writing the first draft for the book review → feeding back among students and from professors → completing the book review. For the learners who feel burden because of reading self-faced masterpieces, the report is suggesting ‘2S2RQ’ version transformed from ‘SQ3R’ version. At the same time this guide line is advising to interact between guiders and poor students who have no experience for writing the book review. the reason is to let the writers be able to learn content creating and content structure deeply.

한국어

본 논문은 대구가톨릭대학교 <글쓰기와말하기> 교양강좌에서 시행한 서평쓰기 수업 사례를 소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평쓰기가 갖는 읽고 쓰는 행위가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 제시하여 읽기 쓰기 통합교육의 당위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서평은 독서를 전제로 하여 학생들의 읽기 행위를 진작하고 쓰기를 통해 능동적 의미 구성을 촉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교육 현장에서 이들 두 영역을 통합적으로 운영하여 서평쓰기를 지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는 무엇보다 서평쓰기가 학생들의 독서 행위를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읽기에 미숙한 대학 1학년을 염두에 두고 서평쓰기 수업은 도서 선정 → 책 읽기 → 토의 → 서평초고 쓰기 → 학생 상호 피드백 및 교수 피드백 → 서평완성 순으로 전개하였다. 특히 축약되지 않은 명저를 정독하는 것에 부담감을 느끼고 있는 학습자들을 위해 ‘SQ3R’ 방식을 변형한 ‘2S2RQ’ 방법을 제안하였다. 동시에 본 지도안은 서평쓰기 경험이 부족한 학생 필자를 위해 동료와 교수자가 함께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했다. 이는 서평쓰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어려움 중, 특히 서평의 내용생성 및 내용조직을 점진적으로 심화시키기 위함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서평쓰기를 위한 읽기 쓰기 접점
 Ⅲ. 읽기 쓰기 통합교육 사례 : 서평 쓰기를 중심으로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심지현 Sim, Ji Hyun. 대구가톨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