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2. 임실 상가윷판유적

윷판형ㆍ고누판형 암각화의 성격과 의미

원문정보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Yutpan-type and Gonupan-type petroglyphs

장장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I present a terminology of ‘Gameboard-type petroglyphs’ as collective name for Yutpan and Gonupan(both are traditional Korean board games) type shaped petroglyphs, and intend to discuss original ‘ceremonial features’ of these particular rock engravings. The word ‘shaped’ has been used to illustrate that the game board not only functions as a practical tool in actual games; but it also serves as a plate with line patterns in symbolic interpretation. Game board-type shaped petroglyphs reviewed from the mentioned perspective leads me to the below conclusion. First, Yutpan-type shaped and Gonupan-type shaped petroglyphs are terms indicating rock engravings marked with lined game boards that are used for traditional board games: Yutnori and Gonunori, both are played in Korea even in these days. Yutnori and Gonunori has its own distinct origin and rule of play; but game boards that each game is played on share a couple of common patterns as follows:These gameboards are shaped in an up-down and left-right Diagonal Square with perfect symmetry; and both of them are very simple structured plates. Second, the yutpan-type petroglyph is a plate which consists of a circle and a cross(all arms of equall ength) within the circle. In the plate, 28 small holes that are engraved on the surface of the stone are arranged in a cross shape around the central hole without any connecting lines. The gonupan- type petroglyph, on the otherhand, contains triple concentric squares that are linked with vertical, horizontal and diagonal lines. In this structure, triple squares are placed one another by associating both four vertices and four middle points of each side; and theses squares are eventually recombined in a cross shape based on center points of four sides. Third, regions or cultural areas where Yutpan-type and Gonupan-type petroglyphss exist are very distinct. Yutpan-shaped petroglyphs are only discovered in Korea, while Gonupan-type petroglyphs are located in Korea, China, and other Asian countries as well as Middle East, and even in Europe. Gonupan-type engravings are spread throughout the world, and some of them still function as a gameboard in today. Fourth, Yutpan-type and Gonupan-type petroglyphs have a plate which is still applicable for the today’s game without any modification. In case of Yutpan-type petroglyphs, there exists everal variations: multiple yutpans on one side of a stone, asingle Yutpanon a slope side, overlapped and unfinished Yutpans. But these latter two examples are rare and exceptional. In this regard, Yutpan-type petroglyphs can be interpreted as a ritual object. In spite of the lack of data, Gonupan-type petroglyphs also reveal ritualistic and symbolic features when all global instances are integrated. Fifth, while investigating these related materials, can be reached to a conclusion that the Yutpantype petroglyph describes the movement of the Big Dipper and the Gonupan-type petroglyph depicts the movement of Samtaeyuksung, three stars marking the handle of the Big Dipper. This interpretation, although aprovisional conclusion by deduction, represents human intention of stabilizing the system of human society by emulating the order of the universe. Sixth, detailed ceremonial features that we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imitating the movement of the celestial bodies have not yet been identified. However, people of that time transferred their ritualistic desire and religious will to these petroglyphs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creating rock engravings, so we might be able to interpret these petroglyphs as ceremonial objects. Once summarized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it still leaves many unresolved issues. First and foremost total inspection on Gonupan-type petroglyphs is urgently needed, and then further discussion should be processed based on comprehensive data. Lastly, I suggest that establishing a terminology of ‘Gameboard-type shaped petroglyphs’ could break a new ground in petroglyphs research.

한국어

이 글은 윷판형 암각화와 고누판형 암각화를 대상으로 이들이 지닌 본디 성격인 ‘의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논의 결과 다음과 같은 잠정적인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윷판형 암각화와 고누판형 암각화는 윷놀이와 고누놀이라는 현행의 행놀이판을 그린 암 각화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놀이발생과 방법은 분명 차별적이나 이들 도판은 공통적으로 나름 의 전형성을 지니고 있다. 이른바 ‘상하좌우 대각의 완전대칭꼴’ 도형이라는 점과 매우 단순 한 구조의 도판이라는 점이다. 둘째, 윷판형 암각화는 원형(○)과 원형 내의 +자 꼴로 이루어진 도판( )이다. 그러나 이 도 판은 연결선이 없이 중심의 바위구멍(ㅇ)을 중심으로 28개의 작은 바위구멍이 +자형으로 배열 되어 있다. 이에 비해 고누판형 암각화는 3중 동심사각형으로 구성되고 동심각형들은 가로세로 와 대각의 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구조는 삼중(三重)의 정사각형이 네 개의 꼭지점과 네 변 의 중점을 연결하여 하나의 도판을 이루고, 네 변의 중점을 기준으로 할 때 결국 +자에 의해 상 호 재결합된 꼴을 취하고 있다. 셋째, 윷판형 암각화와 고누판형 암각화가 존재하는 지역 또는 문화권은 매우 분명하다. 윷판 형 암각화는 우리나라밖에 없다. 반면에 고누판형 암각화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등 아시 아권은 물론이고 중동지역, 유럽지역에 존재한다. 범세계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고, 일부는 현행 의 놀이로 기능하고 있다. 넷째, 윷판형 암각화와 고누판형 암각화는 현행의 놀이에 그대로 적용되는 도판이다. 윷판형 암각화의 경우, 한 암면에 다수의 윷판이 존재하고 경사면에 제작되기도 하며, 중첩된 윷판과 미완의 윷판이 존재한다는 점은 매우 이례적이고 특수한 점이다. 이를 근거로 윷판형 암각화가 의례의 상관물로 존재한다는 해석을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고누판형 암각화는 자료가 부족하 기는 하나 범세계적인 사례들을 총합할 때 의례성과 상징성을 충분히 엿볼 수 있다. 다섯째, 해석학적인 측면에서 윷판형 암각화가 북두칠성의 운행을 모사한 것이고, 고누판형 암각화는 삼태육성(삼태성)의 운행을 모사한 것이라는 적극적인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이는 추론을 통한 잠정적인 결론이지만 천체론적인 우주질서를 모방하고 이를 통해 인간의 질서를 안 정화하려는 의지의 반영이라는 해석이다. 여섯째, 천체의 운행을 모사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구체적인 의례성을 확인할 수 없다. 그러 나 모사 과정을 통한 의례적 욕망을 담아내고, 이를 완성함으로써 인간의 바람을 충족시킬 수 있 다는 신앙적 의지를 반영한 의례적 상관물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이렇게 논의의 결과를 정리하고 보니 여러 모로 아쉬운 점이 많다. 무엇보다도 고누판형 암각 화의 전수조사가 이루어질 필요가 시급하고, 총합된 자료를 통해 좀 더 논의를 진행할 필요가 대두되었다. 으로 ‘판놀이형 암각화’라는 용어의 정립을 통해 암각화 연구의 새 지평이 열리 기를 거듭 제안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논의의 실마리
 Ⅱ. 윷판형·고누판형 암각화의 범주와 유형
 Ⅲ. 윷판형·고누판형 암각화의 분포와 장소성
 Ⅳ. 윷판형·고누판형 암각화의 성격과 방향성
 Ⅴ. 고누판형 암각화의 외국 사례와 도판 해석
 Ⅵ. 마무리와 남은 과제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장장식 Jang Jang-Sik. 국립민속박물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