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2. 임실 상가윷판유적

한국 윷판형 암각화의 역사와 성격

원문정보

History and Charateristics of Korean petroglyph with yutboard

송화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Yut is a Korean traditional game played on a yutboard that appears in petroglyph. The yutboard was carved in Jiseokmyo, a tomb in the Bronze Age, tomb stones of Juckseokmyo in the Corea Dynasty, and tomb stones of Minmyo in Chosun Dynasty. It was also shown in main stones for buildings such as temples, fortress, and bell towers and rocks and bedrocks near the top of mountains. The yutboard has been with Korean people from the Bronze Age to the present for thousands years. It has affected the outlook on the universe and world of Korean people, calendar, and culture. The yutboard has a figure that people i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Prehistoric Age made by observing and understanding the asterism of 28 stars. It was pictured on the ceiling of a tomb in the Koguryo Dynasty. The asterism was considered important in pre-Han Dynasty in China. The Yutgame was transferred to Korea with astrology and Taoism and Buddhism. When there was no official name, the yutboard was called its Chinese name, Jeopo in Baekjae Dynasty. It is assumed that people in the Prehistoric Age desired to know about the universe and paradise and carved the asterism of 28 stars on the rocks and it was called an astronomical chart of 28 stars, a movement of celestial sphere, or stick god as a medium of religion. The yutboard shows that Korean people considered the heaven as a paradise, desired it and wanted to go there.

한국어

한국의 윷놀이는 민족고유의 민속놀이이다. 그런데 윷놀이는 윷판을 이용하는데, 이 윷판이 암각화에 등장하고 있다. 윷판은 청동기시대 무덤인 지석묘 개석과 고구려 적석묘의 무덤돌과 조선시대 民墓의 山祭石에 새겨지고, 사찰, 성곽, 종루 등 건물지 주초석과 산정상 부근의 암반 과 암벽에서 발견되고 있다. 청동기시대 지석묘의 윷판에서 현재의 윷놀이 도판까지 윷판은 수 천년동안 한국인의 우주관과 세계관, 역법체계 및 생활문화에 깊숙하게 자리잡아 왔다. 윷판은 선사 고대에 한반도에서 하늘의 별자리를 관측하고 28개의 별자리를 파악하고, 도형으로 만든 도판을 말한다. 28수 별자리 도형은 고구려 고분벽화의 천정에 그려졌다. 28수 별자리는 중국 前漢代에 매우 중시하였으며, 중국 천문사상과 도불문화가 우리나라에 전래하면서 윷문화를 발 달시켰다. 백제시대에는 공식 명칭이 없어서 저포(樗蒲)라는 중국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나, 저포의 놀이판은 윷판이었다. 윷판은 하늘의 별자리를 대지의 산정과 주초석과 무덤에 표시한 것으로 우주질서의 동경, 선경세계를 동경한 나머지 현세와 내세의 공간에 28수의 윷판도형을 조각한 것으로 보인다. 윷판은 하늘의 세계를 이상향으로 꿈꾼 사람들이 28개의 별자리를 새긴 천문도라고 부려지고 있다. 윷판이 민족 고유의 28수천문도, 천체운행도라고 하였으며, 신앙의 대상으로서 사신(柶神)으로 표현하기도 했다. 한국인들은 현실에서나 내세에서나 하늘을 이상향 의 세계로 설정하고 천상의 세계를 꿈꾸고 희구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 윷판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한국 윷판형 암각화의 유형과 분포 현황
  1. 墳墓 윷판
  2. 건물지 주초석의 윷판
  3. 산정 윷판
 Ⅲ. 윷판의 명칭과 종교적 성격
  1. 윷판의 역사
  2. 윷판의 종교적 성격
  3. 분묘 윷판의 종교적 성격
  4. 산정 윷판의 종교적 성격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송화섭 Song Hwa-Seob. 전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