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1. 울산 천전리 암각화를 보는 새로운 시각

천전리 書石岩刻畵에 나타난 신앙과 제의 모습

원문정보

The religion and the shape of the rite represented on the Cheonjeon-Ri Seoseok petroglyphs

천전리 서석암각화에 나타난 신앙과 제의 모습

장명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eligion and the shape of the rite represented on Cheonjeon-Ri Seoseok petroglyphs are summe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figures. The shape of the religion and the ritual represented in“animal figure”are shamanic rite based upon the conception of recreation of the nature. Thus, to secure foodstuffs, to the mountain god(goddess), the rite of incantation for reproduction focused on the function of the male performed as“sympathetic incantation”in former period, and performed“scatter incantation”in latter period. Considering at the point of performing of shamanic incantation of reproduction, as for the conception of the religion represented in “geometrical figure” is being considered not different greatly from the former period, as shown abstractive figure, the system of conception developed highly, and the incantation and the shape of the rite changed to“scattered incantation”, focusing female reproduction, supplicating fruitful reproduction. Especially, the appearance of solar god and figures based upon the gods are the shapes of the rise of the religion of the founder and perceived the certain change of the concept of religion. As for the“linear figures”are the products of the period entered historical age, already established ancient kingdom, still existing traditional shamanic relic, for political ideology, the religion of royalty endowded by heaven is being accomplished for the insurance of royal authority and for the protection of vested rights, and further, with the accommodation of Confucianism, Taoism and Buddhism, performing the shape of the religion of dragon and Wharang (the flower of youth in Silla dynasty) made strongly.

한국어

천전리 書石岩刻畵에 나타난 신앙과 의례 모습을 그림의 유형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동물그림”에 나타난 신앙상과 의례의 형태는 자연신관의 재생관념을 바탕한 샤머니즘의식으 로 식량 확보를 위해 산신(동물의 주-地母神)에게 남성기능 중심의 생식주술 의례가, 전반기에 는 有感-同種呪術 형태로, 후반기에는‘感染-傳播呪術’형태로 행해졌다. “도형그림”에 나타난 신앙관은 샤머니즘의 생식주술이 행해진 점에서 기저사조는 전기와 크 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보여지나 그림의 추상성이 말해주듯이 사유체계가 고도로 발달되었으 며, 주술과 의례 형태도 여성생식기능 중심 다산기원의‘感染-傳播呪術’에로 전환이 이루어 졌다. 특히 태양신과 신화소 그림의 출현은 시조신앙이 싹튼 모습으로서 신앙관에도 뚜렷한 변 화가 감지된다. “선각그림”은 이미 고대국가가 성립된 역사시대에 진입한 시기의 것으로서 신앙상은 기존의 전통 샤머니즘 제의가 여전히 존속하는 가운데 왕권 확보와 기득권 수호의 정치 이데올로기로서 천손신앙이 확립되어갔고, 나아가 유교와 도교와 불교의 수용을 통해 용 신앙과 화랑을 성립시 켜 이를 더욱 공고히 해 간 모습을 보여준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그림에 투영된 신앙의식
 Ⅲ. 제사 의례의 형식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장명수 Chang Myung-Su. 서경문화재연구원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