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훈민정음 28자의 입력을 위한 단영자판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원문정보

History of Danyoung Hangul Input Method Editor for Hunminjeongeum 28 Letters Usage

장선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HANGUL is unique ergonomic korean alphabet, created by King Sejong, Kingdom of Chosen in 1443 A.D. SORILOGY studies and HANGUL researches were performed about 570 years, current HANGUL language studies accelerated by ICT and brain medical science. HUNMINJEONGEUM (ortho-phonetic alphabet: OPA) is korean script bible for HANGUL (Korean language) and it is published in October 9, 1446 A.D. We invented about DANYOUNG HANGUL Input Method Editor (IME) for HUNMINJEONGEUM 28 letters usage for many years. METHOD HANGUL is originally consist of 17 consonants and 11 vowels. The consonant fall into five homorganic groups through oropharyngeal pathway, the vowel fall into three homorganic groups through tongue and epiglottis position. HANGUL consonants shape is designed from vocal cord, epiglottis, tongue, teeth, lip and we have applied on IME with human speech anatomical system. RESULT We have invented several kinds of DANYOUNG HANGUL IME. For usage of digital devices, above 10 types of DANYOUNG keypad and 2 types of DANYOUNG keyboard have been introduced for HANGUL IME system. Big characteristics of DANYOUNG HANGUL IME is HUNMINJEONGEUM 28 letters usage. CONCLUSION Korean alphabets come from the human speech system. There are originally eleven basic vowels and seventeen basic consonants. DANYOUNG HANGUL IME can use HUNMINJEONGEUM 28 letters on both mobile device and computer system.

한국어

한글은 인체공학적인 한국어 문자로서 1443년 조선왕조 제4대 임금이신 세종대왕에 의해 창제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최고의 과학언어인 한글은 인체발음기관의 모양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이룩한 인류문명의 위대한 유산이며 현존하는 언어 체계중 가장 발 전된 형태로 알려져 있다. 지난 570여년간 소리학연구와 한글연구는 연연히 이어져 왔으 며 현재 정보통신기술분야와 뇌과학분야의 한글응용연구가 가속화되고 있다. 1446년 10월 9일 편찬된 훈민정음은 한글(한국어)의 문자 경전으로 제자해에 대한 원리가 자세히 수록되어 있다. 훈민정음 해례본의 원리구현을 연구, 노력하는 것이 모든 디지털 입력기기의 한글구현 알고리즘을 최적화할 수 있는 방안이라 생각하여 장기간 훈민정음 28자를 입력하는데 사용하는 단영한글입력기를 개발하였다. 한글은 원래 17자의 자음과 11자의 모음으로 이루어졌다. 자음은 발성기관내에 있는 5개의 조음군을 가지고 있으며 모음은 혀와 후두개의 위치에 따른 3개의 조음군을 가지고 있다. 한글 자음의 모습은 성대, 후두개, 혀, 이, 입술에서 상형을 하였으며 이러한 모습을 응용 하여 한글입력기를 개발하였다. 단영한글입력기는 디지털응용기기의 사용목적에 따라 여 러 종류의 형태로 연구되었으며 약 10여 종류의 단영자판과 2 종류의 단영큰자판이 있다. 단영한글입력기의 가장 큰 특징은 훈민정음 28자를 사용하는데 있다. 훈민정음에서 자모는 총 28자이며 인체발성기관에서 유래하였고 자음은 17자, 모음은 11 자이다. 단영한글입력기는 휴대폰과 컴퓨터응용기기에서 모두 훈민정음 28자를 입력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훈민정음 해례본을 근거로 한 단영자판
 3. 휴대용 통신기기를 위한 해례형 단영자판
  3.1 해례형 단영자판 개요
  3.2 휴대용 통신기기를 위한 해례형 단영자판에 대한 고찰
  3.3 자음입력법
  3.4 모음입력법
  3.5 한자, 일본어입력법
 4. 컴퓨터 응용기기를 위한 해례형 단영큰자판
  4.1 해례형 단영큰자판에 대한 개요
  4.2 컴퓨터 응용기기를 위한 해례형 단영큰자판에 대한 고찰
 5. 훈민정음 해례본에 근거한 단영자판에 대한 발자취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장선호 SUN-HO CHANG. 단영(丹英張善豪), 의학박사/이비인후과 전문의, 킹세종이비인후과, 단영연구소(주) 대표이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