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 the complex underlying form of stem research on Pochon Areal Language in Gyeonggi-do (hereafter referred to as "this areal language"). The complex underlying form of stem is a stem which cannot be explained by a single underlying form synchronically. The complex underlying form is formed through Restructuring. The complex underlying form of stem on this areal language is divided into seven types in conjugation; X{{p-u}, {u-ɯ}, {t-lʔ}, {ø-l}ɯ, {u-lɯ}, {a-ɛ}, {ah-a- ɛ}}-
한국어
이 논문은 경기도 포천지역어의 활용어간에 대한 공시형태론 중에서 어간의 복합 형태소 에 대한 논의이다. 여기서 말하는 복합형태소란 원래 한 어간형태소의 이형태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휘화하여 공시적으로 둘 이상의 이형태가 복합되어 하나의 형태소로 표시 되어야 하는 어간을 말한다. 2장에서는 서술어 어간의 복합형태소에 대한 기존 연구에 대해 검토하였다. 기존 연구내 용은 국어에서 어간이나 어미는 통합하는 어미초나 어간말 형태음소가 자음소이냐 모음소 이냐에 따라서 재구조화가 서로 달리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3장에서는 포천지역어가 가진 서술어 어간의 복합형태소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이 글에 서 이용되는 활용형은 표준어 어미 /-{((n)ɯn)ta, ko, tʌla, ɯmjʌn, ʌto}/에 대한 포천지역 어의 어미 /-{((n)ɯn)ta, ku, tʌla, ɯmʌn, ʌtu/이다. 이를 통해 도출된 복합형태소의 유형 과 어간말 형태음소목록은 다음과 같다. X{{p-u}, {u-ɯ}, {t-lʔ}, {ø-l}ɯ, {u-lɯ}, {a-ɛ}, {ah-a-ɛ}}-
목차
1. 서론
2. 기존 연구의 검토
3. 포천 지역어 서술어 어간의 복합형태소
3.1. /X{p-u}-/류
3.2. /X{u-ɯ}-/류
3.3. /X{t-lʔ}-/류
3.4. /X{ø-l}ɯ-/류
3.5. /X{u-lɯ}-/류
3.6. /X{a-ɛ}-/류
3.7. /X{ah-a-ɛ}-/류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s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곽충구(2000). “함북방언의 비자동적 교체 어간과 그 단일화 방향”.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 월인.
- 2김경아(1990). “활용에서의 기저형설정과 음운현상”. 국어연구 94.
- 3김봉국(2002). “강원도 남부지역 방언의 음운론”.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 4복수기저형의 설정과 그 타당성 검토네이버 원문 이동
- 5非自動的 交替의 共時的 記述네이버 원문 이동
- 6김성규(1989). “활용에 있어서의 화석화”. 주시경학보 3. 월인.
- 7김옥화(2001). “부안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 8배주채(1989). “음절말자음과 어간말자음의 음운론”. 국어연구 91.
- 9음절말 평폐쇄음화에 대하여네이버 원문 이동
- 10이혁화(1994). “금릉방언의 성조 연구”. 국어연구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