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세종의 정음창제와 음악이론의 수용

원문정보

King Sejong's Creation of the Korean script and Acceptance of Music Theories

김세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unminjeongeum means 'correct sounds that educate the people'. It is Korean letters King Sejong made for the people to easily write their thoughts and emotion, and was called ‘Jeongeum’ or ‘Unmoon ’ and is called ‘Hangeul’.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Akrikiwonseol' developed by Ahn Hwak who had extensive knowledge in various areas. Ahn Hwak as a scholar of Korean literature. He received much attention through several writings about origin, value, and historical value of Hunminjeongeum, and relations between Hunminjeongeum and music theories. Ahn Hwak's 'Akrikiwonseol' can be demonstrated in aspects of phonology and phonetics. First, in terms of phonology, it can be centered on Eumuon, Gwangunand Jeolunthat integrate theories on Chinese letters and Confucianism of Song Dynasty. Ahn Hwak created a structural principle of trichotomy rather than dichotomy for theoretical bases of phonology in Hunminjeongeum as follows: consonants as initial sounds, Unmo as vowels and initials as final consonants. In terms of phonetics, he focused on precise analyses of sound-producing organs of people. In other words, the organs were differentiated as follows: velar sounds, lingual sounds, labial sounds, dental sounds and guttural sounds as five sounds (Gung, Sang, Gak, Chi, and Woo) with two sounds of semi-lingual phoneme(Byunchi) and semi-teeth phoneme (Byungung) added. It was designed to promote proper use of ① pitch ② duration and ③ intensity and differentiation of sounds, which was derived from King Sejong's independent awareness on Sungeumchanghwa and Yulryeo.

한국어

훈민정음(訓民正音)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이다. 세종대왕이 백성의 생각과 감정을 쓰기 쉽고 배우기 편리하도록 만든 우리민족 고유의 문자인데, 옛날에는 ‘정음(正 音)’ 또는 ‘언문(諺文)’이라 하고, 지금은 ‘한글’이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국학자이면서 여러 분야에 해밝은 선지식을 가지고 있었던, 안확(安廓, 1886~1946)의 훈민정음 ‘악리기원설(樂理起源說)’을 주목하였다. 안확은 여러 편의 한글 관련 글을 통하여 한글의 연원과 가치, 역사성, 나아가 훈민정음과 음악원리의 관련성을 주장하여 눈길을 끌었다. 안확의 훈민정음 ‘악리기원설’은 크게 성운학(聲韻學)과 음성학(音聲學)적 측면에서 그 관 련성을 논증할 수 있다. 먼저 성운학적 측면에서 보면, 중국 문자이론을 집약한 음운(音 韻) 광운(廣韻) 절운(切韻)을 비롯해 송대 성리학(性理學)을 중심으로 살펴 볼 수 있 는데, 중국의 경우처럼 자음(字音) 하나를 자모(子母: 聲母)와 운모(韻母)로 나누는 2분법 적 구분이 아니라, 자음(子音: 聲母)을 초성으로 삼고, 운모(韻母)를 모음(母音) 중성으로 삼고, 초성을 다시 종성으로 삼는 3분법적 구조 원리를 창안하여 훈민정음 성운학의 이론 적 토대를 마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음성학적 측면에서 보면, 사람의 발음기관에 대한 정밀한 분석인식이다. 곧, 성대[울림통]를 중심으로 아음(牙音, 어금니소리), 설음(舌 音, 혀소리), 순음(脣音, 입술소리), 치음(齒音, 이빨소리), 후음(喉音,목구멍소리)에 따른 입 모양과 소리의 위치를 5음[궁·상·각·치·우]과 여기에 반설음, 반치음을 더하여 7음[궁·상· 각·치·우·변치·변궁]으로 변별하여 말의 ① 고저(高低, pitch), ② 장단(長短, duration), ③ 강약(强弱, intensity) 등을 올바로 발음하고 소리를 변별해 냄으로써, 성음창화(聲音唱和) 와 율려(律呂) 이치에 대한 세종대왕의 주체적 인식이 점철된 결과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세종의 정음창제
  1) 세종의 창제설
  2) 정음의 구조 원리
 3. 정음과 율려의 관계
  1) 초성과 5음ㆍ7음ㆍ청탁
 4.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김세종 Se-Jong, Kim. 전남대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