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신라 화랑도에 내재한 유교사상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onfucianism in the thought of Silla’s Hwarang

조남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warang(花郞) was a youth group for the purpose of training desirable government officials in Silla Dynasty. The members of Hwarang are known for building a foundation fo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Goguryeo, Baekje and Silla. The system of Hwarang lasted for many centuries since the mid-sixth century. And the system had turned out many excellent soldiers and officials. For example, Sadaham(斯多含), Kimyusih(金庾信), Byryungza(丕寧子), Kimheumchum(金歆春), Jukjuk(竹竹), Gwanchang(官昌), Hyojongnang(孝宗郞), Kimeungnyeom( 金鷹廉) etc. They made an effort to establish the moral and stable nation. Especially, virtue was taken very seriously in their mind as follows-morality, loyalty, filial piety, integrity, community spirit. These virtues were elementally based on Confucian ideas. Therefore, they were play in the study of Confucian canon and found the motto of life there. For example,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the following phrases. The scholar, trained for public duty, seeing threatening danger, is prepared to sacrifice his life. And when the year becomes cold, then we know how the pine and the cypress are the last to lose their leaves. In this study, I found that Confucian ide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cultivation of the mind in the training of Hwarang.

한국어

이 글은, 6세기 신라 진흥왕 때부터 비롯한 화랑제도의 시행과 그 전개과정을 밝혀주는 사료들을 활 용하여 화랑 수련의 내면적 측면을 고찰해 보려는 의도에서 시작된 것이다. 그 내면적 정신세계를 형성하는 사상적 요인으로는 흔히 유·불·도 삼교를 말하고 있으나, 화랑 교화의 공식적인 핵심 용어 나 그들이 공부한 교재 및 언행상의 인용문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볼 때에, 그 속에는 유교사상이 주맥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점을 논제에 반영하면서 그 구체적인 내용을 고 찰해 본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 사용한 ‘화랑도’의 한자표기는 ‘花郞道’의 경우에 해당한다. 이 연구에서 활용한 기본 자료는, 화랑의 모습을 총론하고 있는 『삼국사기』진흥왕 37년 조의 내 용을 비롯하여 그 「열전」 부분과 『삼국유사』에 전하는 주요 사료 및 ‘임신서기석’이라는 유물속의 문구와 최근까지 학계에 보고된 여러 연구내용 등이다. 이 연구에서 필자는 주로 화랑들의 심신수양이나 삶의 현장에서는 충성·효도·의리·용감·검소·겸손· 생명존중 등의 유교 덕목이 견지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3백여 년간 지속된 화랑 세계에서는 ① 화랑도의 기본에서는 ‘도의(道義)’와 ‘아름다움(美)’으로 표현되는 인간 보편의 가치 가 추구되고 있었다는 점, ② 화랑제도 시행의 애초 목적대로 훌륭한 문관·무관이 배출되었을 뿐만 아니라 문무겸전의식이 제고되었다는 점, ③ 충효양전(忠孝兩全)의 병행의식과 더불어 공명심 초월 의 결의가 다져지고 있었다는 점 등을 밝혔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김부식의 화랑론
 Ⅲ. 화랑정신 구성요소로서의 유교사상
  1. 도의(道義) 정신과 ‘세한부조(歲寒不凋)’의 신념
  2. 임신서기석 속의 충도(忠道)와 유학 공부
 Ⅳ. 화랑정신과 유교 덕목의 실천
  1. 원광법사가 강조한 유교 덕목
  2. ‘임전무퇴’ 속의 충효정신
  3. 국선 김응렴의 ‘삼미행(三美行)’론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남욱 Cho, Nam-Uk. 부산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