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 초등학교 전문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대한 예술기반 생애사 연구

원문정보

An Art-Based Life History Research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n Expertise Teacher

이동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atively investigat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ts meaning of an elementary expert teacher in film education through art-based life history research. Specifically, this paper interpretatively reviewed indigenous and personal professionalism of an expert teacher in terms of sociocultural contexts and conditions in korea. This study constructed a timeline by analytic unit(dimension, turning point, adaptation) of Mandelbaum(1973), generated five sub-categories(➀ method and know-how for elementary film education, ➁ searching for alternative professionalism through elementary film education, ➂ disclosuring vulnerability as a teacher, ➃ deconstructing organizational professionalism, ➄ recognizing educational limit as six grade teacher) and two core categories(➀ searching for alternative professionalism as an expert teacher, ➁ becoming six grade expert teacher) through Lieblich, Tuval-Mashiach, & Zilber(1998)'s holistic content approach. This paper vividly represented participant's life story by in vivo coding, connected a life story with sociocultural contexts and conditions by analytic-interpretive writing. Also, this paper suggested several ideas for developing personal and occupational professionalism beyond organizational professionalism.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be a cornerstone to reconceptualize alternative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hrough illumina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ts meaning in korea.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예술기반 생애사 연구방법을 통하여 한 초등학교 영화교육 전문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그 의미를 해석적으로 탐구하는 데 있다. 특히, 이 연구는 한 초등학교 전문교사의 고유하고 개인적인 교수 전문성 발달이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 및 조건과 어떻게 조응하는지를 해석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Mandelbaum(1973)의 분석단위(차원, 전환점, 적응)로 타임라인을 구성하고, Lieblich, Tuval-Mashiach, & Zilber(1998)의 총체적 내용 접근으로 전문성 발달과 의미에 대한 코딩 및 범주화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5개의 하위범주(➀ 초등 영화교육의 방법과 노하우, ➁ 초등 영화교육을 통한 대안적 전문성 추구, ➂ 초등학교 교사로서의 교수적 약점 노출하기, ➃ 조직적 전문성 해체하기, ➄ 6학년 교사로서의 교육적 한계 인정하기)와 2개의 핵심범주(➀ 초등학교 전문교사로서의 대안적 전문성 모색, ➁ 6학년 전문교사 되기)를 생성하였다. 이 연구는 인 비보 코딩(in vivo coding) 통하여 참여자의 생애담을 생동감 있게 재현하고, 분석적 및 해석적 글쓰기를 통하여 전문성 발달과 관련한 참여자의 생애담을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맥락 및 조건에 연결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기존의 조직적 전문성을 넘어서 개인적이고 직업적인 교수 전문성의 발달을 위한 몇 가지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전문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의미에 대한 해석적 논의를 통하여 대안적인 전문성 개념을 재개념화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1. 교사 전문성의 재개념화: “생애사 연구와 대안적 전문성”
  2. 예술장르로서의 영화와 영화교육: “교육적 텍스트로써의 영화”
 Ⅲ.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의 삶의 맥락과 배경
  2. 질적 자료의 수집
  3. 생애담의 해석을 통한 생애사 구성
  4. 이야기의 신뢰성과 진실성 확보
 Ⅳ. 연구결과
  1. 초등학교 전문교사로서 대안적 전문성 모색: “초등 영화교육 전문교사 되기”
  2. 6학년 전문교사 되기: “아이들과 수업을 삶의 중심에 두기”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동성 Lee, Dong-Sung. 전주교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