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how Koreans adopted theWhite-robed Kuan-yin who is the representative example of Chinesetransformed Avalokiteśvara. Some esoteric sutras state the deity’s name andclothing in the white color. But the appearance of Avalokiteśvara white-cladcovering the head is assumed to be created in the late Tang. The remains ofthe White-robed Kuan-yin images produced in the Five Dynasties periodsuggest the spread time of the deity. The images seem to be more circulatedwith the popularity of the Zen school in the Sung times. The white robe showsus several different styles. They are highly likely to be traced to the clothing ofthe women and priest in the Tang and Sung period. It’s very Chineselike characteristic of the Avalokiteśvara belief that theWhite-robed Kuan-yin becomes to be feminized, and in addition, turned intothe Child-giving Kuan-yin in the Sung and later date. This unique phenomenonis generalized in the Ming period. The Chinese indigenous sutras, miracle talesand images are the sources to make certain of such a process. Actually thechild-giving is mentioned already as one of the merits of Avalokiteśvara in thechapter on Avalokiteśvara in the Lotus Sutra.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White-robed Kuan-yin becomes to be endowed with transcendental powers asa child-giving deity down the ages. The records and images of the White-robed Kuan-yin were known since theGoryeo period in Korea. It is revealed that they called Avalokiteśvara“White-clad” irrespective of clothing. It suggests that they identified theWhite-robed Kuan-yin with the Bodhisattva in the Avalokiteśvara Sutra. It’s adistinctive difference between China and Korea. Avalokiteśvara is also called“Water-Moon” and “Great Compassion” in Goryeo. The writing of Lee Kyubo(李奎報), the most famous writer, have been often misunderstood because ofthe deity’s names. I elucidated all of the three names which stand forAvalokiteśvara. It is hard to see the feminine forms of Avalokiteśvara in the Joseon period,too. The Child-giving Kuan-yin paintings appear in the late Joseon. The deityis mostly represented with the iconography from the Samjaedohoe(三才圖會). But there is no implied belief in child-bestowing on the paintings. It tells usthat the Koreans just attempted the Child-giving Kuan-yin image as a newiconography of Avalokiteśvara. I think the reason why they didn’t adopt thefaith is due to the Korean traditional folk belief in the Three Gods(三神信仰)concerning with child-bearing. In conclusion, the Chinese White-robed Kuan-yin was mostly developed tothe Child-giving Kuan-yin and believed, whereas the Koreans have adopted theWhite-robed Kuan-yin and Child-giving Kuan-yin just as new iconographies ofAvalokiteśvara. In this respect, the Koreans seem to be exclusive to theChinese transformed images and belief in Avalokiteśvara. I would like to saythat there was no specified belief in the White-robed Kuan-yin in Korea eventhough they called the deity’s name and produced the image.
한국어
본 논고에서는 중국화된 관음보살의 대표적 예인 白衣觀音에 관한 여러 사항들을 살펴보면서 우리나라에서 백의관음을 어떻게 수용하였는지 규명해보고자하였다. 백의관음의 名號와 服飾은 밀교경전에서 설하고 있지만, 머리서부터 白衣로전신을 감싼 백의관음상은 중국 에서 唐代 후반기에 성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존하는 백의관음상은 대부분 五代부터 보이며, 宋代에는 禪 宗의 흥성과 더불어더욱 유행한 듯하다. 白衣는 여러 형태로 표현되었는데, 唐宋代 부녀자의 복식을비롯하여 승려의 법의인 가사와 관련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백의관음이 宋代에 여성화되면서 이후 送子觀音 信仰을 갖게 되고, 明代에는이러한 양상이 보편화되는 것은 관음신앙에서 매우 중국적인 특성이다. 경전과영험담, 그리고 작품을 통하여 그러한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 다. 求子신앙은 관음의 한 공덕으로 「普門品」에서 설하고 있지만, 백의관음이 중국에서 僞經까지 창안하면서 송자신앙의 대상으로 독자화되는 것은 주목되는 점이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부터 백의관음상과 관련된 문헌 기록이 전하고 유물도 남아 있다. 그런데 고려에서 는 복식에 상관없이 觀音菩薩을 “白衣”로 호칭한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 점은 백의관음을 「보문품」의 관음과 동일시하였음을 말해주며, 중국의 백의관음신앙과 차이를 보여주었다. 관음보살은 또한 水月과 大悲로도 불 렸으며, 李奎報의 문장은 세 명호가 함께 나타난 좋은 예로서 모두 관음보살을 대신하는 명호임을 밝힐 수 있 었다. 조선시대에도 女性形의 관음상은 보기 힘들고, 送子觀音 도상의 작품 또한 영세하게 남아 있다. 송자관음은 주로 三才圖會에 전거한 도상을 표현하였는데,이들 관음도를 살피면서 대부분 求子신앙이 내포되지 않았음 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그 배경에 대해 우리나라 전래의 민간신앙, 특히 三神信仰이 뿌리깊게 자리잡고 있는 때문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중국의 白衣觀音은 대개 送子觀音으로 진화되고 신앙된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보문품」 관음이 백의를 입은 한 도상으로 수용되었다. 送子觀音像 또한 새로운 도상으로 조선말에 일부 시도되었다. 이 점은 중국적으로 변모된관음이나 신앙에 배타적이었음을 시사해주며, 우리나라에서 백의관음 名號는 부르고 造像 하였으나 특정한 백의관음신앙은 없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Ⅱ. 服飾을 통해 본 중국의 白衣觀音像
Ⅲ. 白衣觀音과 고려시대의 觀音名號
Ⅳ. 白衣觀音의 女性化와 영험담
Ⅴ. 중국 送子觀音 도상의 전개와 조선시대 求子信仰
Ⅵ.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 백의관음(白衣觀音)
- 송자관음(送子觀音)
- 관음상(觀音像)
- 관음신앙(觀音信仰)
- 삼신신앙(三神信仰)
- 변화관음(變化觀音)
- White-robed Kuan-yin
- Child-giving Kuan-yin
- image of Avalokiteśvara
- belief in Avalokiteśvara
- belief in Three Gods
- Transformed Avalokiteśvara
- 白衣觀音(White-robed Kuan-yin)
- 送子觀音(Child-giving Kuan-yin)
- 觀音像(image of Avalokiteśvara)
- 觀音信仰(belief in Avalokiteśvara)
- 三神信仰(belief in Three Gods)
- 變化觀音(Transformed Avalokiteśva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