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엔터테인먼트

방송광고에서 장르의 역할에 대한 기대관점과 활용에 대한 태도가 방송광고 장르에 대한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Expected Perspective on the Role of Genre and Attitude toward Utilizing Genre in Broadcast Ad on the Liking of Broadcast Ad Genre

김철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xpected perspective on the role of genre and attitude toward utilizing genre in broadcast ad on the liking of broadcast ad genre as appeal types of creativity.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cro-environmental expected perspective(MEEP) on the role of genre and a negative attitude toward utilizing genre in broadcast a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icro-practical expected perspective(MPEP) and a positive attitude was also found. Consumers with an integrated-situational expected perspective(ISEP) show a mor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dual attitude. Consumes with a MPEP have a stronger liking on comparative ad and sex appeal ad, and consumers with an ISEP show a median liking. Consumers with positive attitude have a stronger liking on comparative ad and sex appeal ad, and consumers with a dual attitude show a median liking that is between the positive attitude-based consumers’ and negative attitude-based consumer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방송광고에 장르 개념을 학제적으로 적용하여 방송광고에서의 장르 역할에 대한 기대관 점과 장르 활용에 대한 태도가 소구유형으로서의 방송광고 장르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살펴보는데 있 다. 연구 결과, 거시환경적 기대관점과 부정적 태도 간에, 미시실용적 기대관점과 긍정적 태도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상황적 기대관점의 소비자는 방송광고에서의 장르 역할에 이중적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 로 조사되었다. 방송광고에서 장르의 역할에 미시실용적 기대관점을 지닌 소비자는 비교광고와 성표현광고 호감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고, 통합상황적 기대관점을 가진 소비자는 거시환경적 기대관점과 미시실용적 기대관점의 중간적인 호감도를 보였다. 방송광고에서의 장르 활용에 긍정적 태도를 갖고 있는 경우 비교광고와 성표현광고 호감 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중적 태도를 가진 소비자의 방송광고 장르 유형에 대한 호감도는 부정 적 태도와 긍정적 태도의 중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의 배경
  2.1 방송광고에서 장르 역할에 대한 기대관점
  2.2 방송광고에서 장르의 활용에 대한 태도
  2.3 크리에이티브 소구유형으로서의 방송광고 장르
 3. 연구문제
 4. 연구방법
  4.1 변인 및 장르 유형의 설정
  4.2 실험 참여자 선정 및 진행
  4.3 방송광고 장르 개념의 조작적 정의 및 방송광고 장르 유형으로서의 비교 광고와성 표현 광고 개념 고지 및 확인
  4.4 척도의 개발
 5. 결과
 6. 논의 및 시사점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철호 Kim, Chulho. 청주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