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영

위치기반서비스 이용에 대한 인지된 위험의 영향 연구

원문정보

An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 of Perceived Risk upon Intention to LBS Use

김상민, 이지은, 박찬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 disclosure of privacy information has grown steadily, concerns about mobile services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also increased. We aspired to reveal factors influencing the use of Location-Based services(LBS) App and analyse how the perceived risk affected between these factors and the use of LBS App. Results showed that usefulness and social influence influenced on the use of LBS App. We also found that the group who highly recognized the perceived risk was highly affected by usefulness and the group who lowly recognized the perceived risk was highly affected by social influence. Findings show that the company's strategy sh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consumers' perceived risk.

한국어

개인정보 관련 사건사고가 증가하면서 개인정보 기반의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우려가 늘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보급 확대로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위치기반서비스 앱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인지된 위험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위치기반서비스 앱 이용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도출 한 후 인지된 위험이 이들 변수와 앱 이용 행위 사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용 성과 사회적 영향은 위치기반서비스 앱 이용에 영향을 미치나, 인지된 위험을 높게 인식하는 집단은 유용성으로부터, 인지된 위험을 낮게 인식하는 집단은 사회적 영향으로부터 이용 행위에 더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치 기반서비스 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인지된 위험의 교섭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보보호 정책과 보호기술이 요구되며 기업 입장에서는 인지된 위험 수준에 따른 개발 전략을 취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위치기반 서비스
  2.2 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3 인지된 위험
 3. 연구문제와 가설설정
  3.1 연구문제
  3.2 연구가설
 4. 가설검증
  4.1 자료수집
  4.2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4.3 회귀분석을 통한 가설검증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상민 Sang Min Kim. 피알에프(주)
  • 이지은 Ji-Eun Lee. 한양사이버대학교
  • 박찬권 Chankwon Park. 한양사이버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