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based on Privacy Calculus Model, we study whether users’ intention of continuous use of closed-type SNS is affected by information privacy concern. In addition, we propose a model that studies if the major factors of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which are trust, satisfaction and benefits could control the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effect on the intention of use. As a result, companies have to consider protecting the psychological privacy and information privacy of the individual when they design SNS.
한국어
최근 모바일 환경의 발전으로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없어짐으로서, SNS에서 실시간으로 서로간의 의사소통과 정보의 공유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SNS는 빠르게 대중화가 이루어졌고 오늘날엔 SNS의 영역이 사회 전반으로 확대되면서 경제적, 사회적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 기업들은 SNS를 통해 마케팅 전략을 세우거나 소셜커머스로 사용자들과 전자상거래를 하게 되었고, 개인들은 다른 사용자와 특정 이슈에 대해 견해를 교류하거나 정보를 공유하여 오프라인의 영역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SNS의 빠른 대중화와 더불어 SNS를 통한 이득을 보기 위해 사용자들은 개인정보를 SNS와 기업에게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개인정보가 무분별하게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 없이 불법적으로 사용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이로 인해 정보 프라이버시의 침해 우려는 사용자들이 SNS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큰 방해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실제로 이를 시스템적으로 최대한 보호해주는 폐쇄형 SNS가 최근 등장함에 따라 많은 사용자들이 폐쇄형 SNS에 몰리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라이버시 계산 모형(Privacy Calculus Model)을 기반으로 하여 SNS를 사용함 에 따라 사용자가 인지하는 이득을 시스템적인 보안과 개인의 심리적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것으로 제시하여 사용자가 인지된 이득을 위해 SNS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려는 의도가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의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대표적인 요인들로 알려진 신뢰, 만족, 혜택이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지 살펴보는 연구 모형을 제안하였 다. 결과적으로 밴드의 경우에 보안과 프라이버시 염려 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심리적 프라이 버시의 경우엔 영향을 미쳤고, 신뢰 역시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쳤지만 사용자의 만족은 여전히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를 완화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인 프라이버시가 지속 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으로 보아, 기업들은 SNS를 설계할 때 사회적 책임을 가지고 개인의 심리적인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폐쇄형 SNS를 서비스하는 기업들에게 SNS의 어떤 면을 강조해서 서비스해야 하는 지 그 방향성을 제시해주고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가 사용자가 인지하는 이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또 이것을 어떤 요인으로 조절할 수 있는 지를 밝혔다는 데에서 학문적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폐쇄형 SNS
2.2 인지된 정보 보안(Perceived InformationSecurity)
2.3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InformationPrivacy Concern)
2.4 인지된 심리적 프라이버시(PsychologicalPrivacy)
2.5 프라이버시 계산 모형(Privacy Calculus Model)
Ⅲ. 연구모형 및 가설
3.1 연구 모형의 설계
3.2 연구 가설
Ⅳ. 연구방법
4.1 변수의 조작적 정의
4.2 데이터 수집과 표본의 기술적 특성
4.3 측정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정
4.4 가설 검정
V. 결론
5.1 연구 결과 및 시사점
5.2 연구의 한계점
참고문헌
<부록 1> 변수들의 조작적 정의
<부록 2> 측정 변수와 측정 항목
<부록 3>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