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f Transition Activities through Rhythm Life at Waldor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field teachers conduct transition activities smoothly by understanding the present condition of transition activities as well as teachers' perception on transition in rhythm life at Waldor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by investigating field cases on how transition activities are actually carried out at the scene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teachers of Waldor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howed very high interest in transition. Seconds, as a signal sound indicating the start of transition time, a variety of signal sounds were being used, with singing being most used. Thirds, most of the teachers found it difficult to operate transition times ;'time before the start of ring time or Reigen after tidying up' were most difficult. Fourths, as for the form of transition activities, the non-directive transition activities appeared most frequently, followed by transition activities of modeling and transition activities led by Loving Authority. In conclusion, transition activities in rhythm life at Waldor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quires a process of re-creating them through a teacher's own research work according to the routine operation or education policy of each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nd also it is necessary to publish educational materials related to transition. In this sense, it is expected/sugges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turn to basic data for widening the understanding about transition and for enabling the harmonized and smooth progress of transition activities in the operation of daily routines at Waldor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s well as ordinar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한국어
본 연구는 발도르프 유아교육기관의 리듬생활에서 전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전이활동에 대한 실 태를 파악하고, 교육현장에서의 전이활동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시되고 있는지에 대한 현장사례를 살 펴봄으로써, 전이활동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현장교사들에게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전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전이활동에 대한 실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도르프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은 대부분 전이에 대한 관심도는 매우 높 게 나타났다. 둘째, 전이시간 시작을 알리는 신호음으로는 노래 부르기를 가장 많이 하고 있었다. 셋째, 대부분 교사들이 전이시간을 운영하는 것에 대하여 어려워하고 있었다. 넷째, 전이활동의 형태는 비지 시적인 전이활동과 모범과 모방의 전이활동, 애정 어린 권위자가 이끄는 전이활동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전이활동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및 각 유아교육기관의 일과운영이나 교육방침에 따라 재 창조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전이에 관련된 교육 자료발간 또한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런 의미에서 본 연구의 결과들은 발도르프 유아교육기관에서 뿐만 아니라 일반 유아교육기관의 하루일과 운영에서도 전이에 대해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발도르프 유아교육에서의 리듬생활
2. 전이활동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처리
Ⅳ. 연구결과 및 해석
1. 발도르프 유아교육기관의 리듬생활에서 전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
2. 발도르프 유아교육기관의 리듬생활에서 전이활동의 실태
3. 발도르프 유아교육기관의 하루리듬생활에서 전이활동의 사례
Ⅴ. 논의 및 결론
1. 요약 및 논의
2.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