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조선 내『설부(說郛)』의 수용과 인용 소고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ransmission and Citation of 'Xiaoshuo' into Joseon Dynasty

박혜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the transmitted and cited cases of 'Xiaoshuo' into Joseon dynasty. 'Xiaoshuo' is a book which Tao Zong-yi in Ming dynasty wrote by collecting biji from Han-Wei to Yuan Period. The earliest citation of 'Xiaoshuo' is seen from 'Daedongunbukunok' written by Kwon, Munhea in 1589. He could read 'Xiaoshuo' because he was a Royal library manager. After 20years, Hanjeonglok written by Heo, Gyun quoted 'Xiaoshuo'. At the end of 16th century when Heo, Gyun lived, Chinese ambassadors visited Joseon frequently, which led to frequent introduction of contemporary Chinese literature into Joseon. Also, ambassadors of Joseon visited China frequently as well, which led to a massive amount of importation of literature by them. The importation by the ambassadors included the genre of novel and biji as well as commentaries of Confucian Classics and practical books. 'Xiaoshuo' is one of the them and Lee, Sugwang cited 39 times in 'Jibongyuseol', Lee, ik cited 6 times in 'Seonghosaseol' and Lee, Gyugyeong cited 29 times in 'Ohjuyeonmunjangjeonsango'. 'Daedongunbukunok' was compiled for organizing idiom originated in an ancient event i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period. Consequently the book mainly cited Kyelimyusa which appeared on 'Xiaoshuo' introduced customs of Goryeo Dynasty. 'Jibongyuseol' and ‘Seonghosaseol' cited 'Xiaoshuo' to discuss Confucian philosophy and political thoughts.‘Ohjuyeonmunjangjeonsango' cited 'Xiaoshuo' to complement interesting stories about the figures, animals from legends or exotic animals etc. This study presents actual examples showing that Joseon accepted Chinese literature in the period of Ming and Qing in writing encyclopedias such as 'Daedongunbukunok', 'Jibongyuseol', 'Seonghosaseol' and 'Ohjuyeonmunjangjeonsango' based on the analysis above.

한국어

『설부(說郛)』는 명(明)의 도종의(陶宗儀)가 한위(漢魏)부터 원대(元代)까지 의 필기류(筆記類)를 모아 편찬한 책이다. 『설부』를 인용한 조선 문헌 중 필자가 찾을 수 있었던 가장 이른 시기의 기록은 권문해(權文海)의 『대동운부군옥(大東 韻府群玉)』이다. 그는 존경각의 서적을 담당하였던 성균관의 사예(司藝)ㆍ전적 (典籍)ㆍ학정(學正) 등의 직책을 거쳐, 궁중의 경서(經書) 및 사적(史籍)을 관리 하는 직책인 홍문관부제학(弘文館副提學)도 역임하였다. 그래서 그가 『설부』를 존경각에서 접했으리라 추측할 수 있다. 『대동운부군옥』은 1589년에 완성되었고 그 뒤 20년 뒤인 허균의 『한정록(閑情錄)』에서 또다시 『설부』가 인용된다. 허균이 살았던 16세기 말 17세기 초는 중국의 사신이 대거 입국하여 중국의 동시대 문학을 접할 수 있었고 사행을 통해 대량으로 서적을 구입하는 등 민간영역의 서적 수입이 확대되는 시기였다. 그 수입 서목은 경서의 주석서나 실용서 이외에 만명(晩明) 소설 및 필기류가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권문해가 『대동운부군옥』에서 51회, 이수광이 『지봉유설(芝峯類說)』에서 39회, 이익이 『성호사설(星湖僿說)』에서 6회, 이규경이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서 29회 인용한다. 형식적 측면에서 인물역사고사 집성 유서인 『대동운부군옥』에서는 운자를 끝자로 하는 숙 어 아래 설명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고증을 겸한 유서인 『지봉유설』과 『성호사설』은 표제어 아래 나열, 논증의 단문으로, 『오주연문장전산고』는 조목명이 ‘~변증설’ 로 되어 있고 내용 역시 비교ㆍ논증ㆍ논평의 장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용 적 측면에서도 『대동운부군옥』은 우리나라 고사 수집이 목적이었기 때문에 주로 우리나라 방언, 제도, 풍속에 집중되어 있어 일서(逸書)로 『설부』에 수록되어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계림유사(鷄林類事)』ㆍ『계림지(鷄林志)』의 인용이 많다. 『지봉유설』과 『성호사설』에서는 경학ㆍ경세와 연관하여 인용된다면』, 『오주연 문장전산고』는 전설 속의 인물이나 동물, 신기한 동물등 흥미에서 비롯된 인용이 비교적 많다. 이는 선행연구자가 『성호사설』과 『오주연문장전산고』의 서술상의 차이를 경세의식의 유무로 지적한 것과 연장선에 위치한다. 『대동운부군옥』, 『지봉유설』, 『성호사설』, 『오주연문장전산고』와 같은 유서의 등장은 명ㆍ청대의 학술의 세례에 힘입어 등장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 저술에서 『설부』의 인용양상을 살펴보는 것은 조선 시기 명ㆍ청대의 학술의 영향이 구 체적으로 어떻게 수용되었는가에 대한 하나의 양상을 제시하는 데 의미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설부』의 수용 시기
 3. 『설부』의 인용 양상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혜민 Park, Hea-min. 연세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