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2 : 모당 홍이상의 생애와 행적

그림과 작품을 통해본 홍이상의 한평생

원문정보

The Life of Hong Isang Through his Art and Writings

허경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ne’s collection of works is the important source in examining the life of a literati. However, as the writings of Mo Tang(慕堂) Hong Isang(洪履祥, 1549~1615) are presently not completely extant, his paintings and sketchbooks must supplement his biography. In order to find works outside of Hong’s writings, one must first examine his letters and poetry, including not only Sŭnggasuch’angnok(僧加酬唱錄), but the writings from his third diplomatic journey to Beijing with other emissaries and poetry from this period. For instance, the Kŭnmuk(槿墨) in the Chon'gyŏnggak Library of Sŏnggyun'gwan University and poetry scroll sat Yonsei University contain his calligraphy while Korea University Library’s Master Mo Tang’s Posthumous Works (慕堂先生遺墨) has around forty pieces of Classical Chinese poetry and scrolls, with most of the poetry being written during his journey to Bejing. In the Forty Letters of Master Ka Mo”(可募先生四十章), the first line of the biography states: “His first name was Insang(麟祥), his courtesy name was Kunsŏ(君瑞), and his pen name was Kamodang(可募堂),” which matches with what is recorded of Hong Isang. Written while in Ming during the Imjin War, the letters also mention the Ming’s Minister of Defense Shi Xing(石星). If this is confirmed as Hong’s, it will not only add to his list of works but also aid in shedding more light on his life. Rather than becoming the frequent subject of many paintings as the descendant of a famed household, in the words of Yi Yulgok, Hong raised his impoverished household into prominence with his fine character, numerous paintings, and rise in the civil service. Although he did not obtain the post of Prime Minister,he “was by naturepopular”, “an upright and well-groomed scholar,” and well-reputed and experienced civil servant, organizing various fellowship meetingswherein he left behind many paintings. A man who enjoyed the company of others, he formed many fellowships which he had artists paint so that they would be long remembered. Why did Hong holdfellowship meetings with his colleagues and civil service exam taking peers as a provincial magistrate while leaving records of them in paintings? Hong took the civil service exam because of his poor household and ailing father, and went down to the provinces as magistrate to look after his mother. He served his mother with utmost filial piety during his posts as governor of Ch’unch’ŏn, Andong, and Ch’ŏngju County magistrate, but enjoyed not only the company of his mother but that of the people. Indeed, the second fellowship gathering of his peers who took the civil service exam with him was a feast in honor of his mother. Hong did not become a merit subject due to taking care of his parents, but instead became the main subject of many paintings. In the end, while being filial and expressing that joy to posterity through the many paintings of his fellowship meetings, he was recognized as the literati who enjoyed life most and the first to be the subject of many genre paintings featuring it.

한국어

문인의 한평생을 살펴보려면 문집이 가장 중요한 자료이다. 그러나 모당(慕堂) 홍이상(洪履祥, 1549~1615)의 문집이 온전하게 전해지지 않아, 그림이나 서첩 (書帖) 같은 자료를 통해서 그의 생애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홍이상의 작품을 문집 밖에서 찾아보려면 시축(詩軸)과 간찰첩(簡札帖)을 먼 저 살펴보아야 한다. 승가수창록(僧伽酬唱錄) 뿐만 아니라 모당의 세 차례 연 행(燕行)에 함께 다녀왔던 문인들의 문집이라든가 이 시기 간찰첩들이 제1차 검 토 대상이다. 예를 들면 성균관대학교 존경각에 소장된 근묵(槿墨)에 모당의 유묵이 실려 있고, 연세대학교 간찰집에도 실려 있다.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소장된 모당선생유묵(慕堂先生遺墨)에 40여점의 한시와 간찰이 실려 있는데, 한시는 연행(燕行) 시기에 지은 시가 대부분이다. “가모선생친필사십장(可慕先 生親筆四十章)”이라고 했으니(<그림 6>), <행장(行狀)> 첫 줄에 “공의 처음 이 름은 인상(麟祥)이었고, 자는 군서(君瑞)였으며 호는 가모당(可慕堂)이었다”는 기록과도 들어맞는다. 임진왜란 중에 명나라에 갔던 시기의 편지라서 병부상서 석 성(石星)과 관련된 내용도 보인다. 이 유묵(遺墨)이 홍이상의 친필로 확인되면 작품이 많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생애를 밝히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그가 훌륭한 집안에 태어났기에 많은 그림의 주인공이 되었다기보다는, 율곡의 말처럼 한미한 가운데 태어나 훌륭한 인품을 지니고 높은 벼슬에 올랐으므로 그림 도 많이 그려지고 훌륭한 집안을 일으켰다. 재상에 오르지는 못했지만, “본디부터 중망이 있었고”, “단정하고 방정한 선비”인데다, 오랫동안 명망을 쌓은 노성한 관 원이었기 때문에 그는 다양한 계회(契會)를 주선하여 많은 그림을 남길 수 있었다. 사람 모 으기를 좋아했던 홍이상이 계회(契會)를 결성하고, 즐거운 모임을 오 래 기억하기 위해 화공에게 그림을 그리게 했다. 모당이 지방 수령으로 나갔을 때에 동료들이나 동방(同榜)들을 불러모아 계회 를 결성하고 그 모임을 그림으로 남긴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과거시험에 응시하 는 이유는 집이 가난한데다 아버지가 병들었기 때문이었고, 모당이 수령으로 나가 려던 이유는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한 것이었다. 춘천부사, 안동부사, 청주목사로 나아가 어머니를 효성껏 모셨는데, 어머니만 즐거워한 것이 아니라 백성들도 즐거 워하였다. 모당이 주선한 두 차례 동방(同榜) 계회(契會)도 결국은 어머니를 위 한 잔치였다. 홍이상은 부모를 모시기 위해 공신(功臣)에 들지 못했지만, 공신보다 더 많은 그림의 주인공이 되었다. 부모에게 효도하면서 그 즐거움을 후세에 전하기 위해 많은 계회도를 그리게 하다보니, 결국은 가장 행복하게 한평생을 보냈던 사대부로 남들에게 인정받아 첫 번째 평생도(平生圖)의 주인공까지 된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문집 정본화작업의 필요성
 2. 그림을 통해본 모당의 한평생
 3. 모당의 한평생에 왜 그림(기록화)이 많이 남게 되었는가?
 4. 맺음말 : 어버이를 즐겁게 해드리기 위해 그림을 그리다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허경진 Hur, Kyung-jin. 연세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