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뇌졸중 환자의 운전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원문정보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bility of Driving Performance in Stroke Patients

이재홍, 이재신, 김수경, 차태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evance between the functional level and driving skills in stroke patients, and to compare their driv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ir functional level. Methods : To evaluate the functional ability of the participants, an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3 (MVPT-3), Manual Function Test (MFT), Rapid Pace Walk Test, The DriveABLE Cognitive Assessment Tool (DCAT), and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were used. In addition, an STISIM Driving simulator (OTRehab-2.evt) was used to investigate their driving capability. Results : Their brake reaction time had an effect on their visual perception ability (spatial orientation), as well as their cognitive and depression levels. The total length of the run time influenced their gait function and depressive level. Centerline crossings were related to their visual perception (spatial orientation), and road edge excursion was linked with their visual perception (spatial orientation). In addition, off road accidents affected their visual perception (visual closure), gait function, and depressive level, and collisions exerted an influence on their visual perception (visual short-term memory) and cognitive status. Conclusion : This study will serve as fundamental data for further studies on driving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s.

한국어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가 현재 가지고 있는 기능 수준과 운전수행과의 관련성을 알아본다. 또 한 대상자들이 가지고 있는 기능 수준의 하위 요소에서는 어떠한 요인이 운전수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 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대상자의 기능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비운동성 시지각 기능 검사(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3; MVPT-3), 뇌졸중 상지 기능 검사(Manual Function Test; MFT), Rapid Pace Walk Test, The DriveABLE Cognitive Assessment Tool (DCAT), 한국형 노인우울척도(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를 시행하였다. 모든 검사를 마친 대상자를 상대로 운전수행 평가 STISIM Driving Simulator (OTRehab_2.evt)를 통해 대상자의 운전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 보았다. 결과 : 뇌졸중 환자의 운전은 시지각 기능, 신체 기능, 인지 기능 및 우울과 관련성이 있었다. 정지 반응시 간은 시지각 기능(공간적 지남력)과 인지 및 우울 수준, 총 소요 시간은 보행 기능과 우울 수준, 중앙선 침범과 차선이탈은 시지각 기능(공간적 지남력), 차선이탈 사고는 시지각 기능(시각적 폐쇄)과 보행 기 능 및 우울 수준, 충돌 사고는 시지각 기능(시각적 단기기억)과 인지 수준이 영향을 주고 있었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운전수행은 각각의 영역에서 다양한 기능 수준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향후 운 전재활에 있어 개인의 부족한 운전수행 영역에 대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영역별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더욱 객관화된 정보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절차
  3. 측정 도구
  4.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기능 수준에 따른 운전수행
  2. 대상자의 운전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이재홍 Lee, Jae-Hong. 사회복지법인 청목복지재단 믿음의집
  • 이재신 Lee, Jae-Shin.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김수경 Kim, Su-Kyoung.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차태현 Cha, Tae-Hyun.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