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presents a classification of the sounds corresponding to the usual Sino-Japanese characters (2010) into the five types of Go’on, Kan’on, Go’on & Kan’on, To’on, Kan’yo’on, concentrating mainly on the 172 sounds and 153 characters in the groups of Tong (通). 1) As a result of the researh this paper reports on, the 172 sounds in the groups of Tong (通) are seen to contain 64 sounds of Kan'on, 53 sounds of Go'on, 64 sounds of both Go'on and Kan'on, and 9 sounds of Kan'yo'on. The important next step is to classify all the sounds in the group of Tong (通). 2) The rhyme Dong (東) appears as the -ou/-oku type in the Sino-Japanese Kan’on. However, it appears as not only the -ou/-oku type but also the -(u)u type in the Sino-Japanese Go’on. Dou (ドウ) of Dong (同洞銅胴童瞳動) is classified as a Kan’yo’on (慣用音) in Chinese-Japanese Dictionaries because they provide only the -(u)u type as the Sino-Japanese Go’on. Nevertheless, the Dou (ドウ) of Dong (同洞銅胴童瞳動) must be classified as a Go’on-type reading. 3) Suu (崇) is classified as a Sino-Japanese Kan’on by Sasaki (2009b:207), but it is classified as a Sino-Japanese Go’on by Sato (1996). However, Suu (スウ) developed from the Sino-Japanese Kan’on Siu (シウ) because of the palatalized s(サ行) in Japanese. 4) Shu (シュ) and Shuu (シュウ) in the rhyme Dong (東) that contained [i] cannot be the standard of distinguishing the Sino-Japanese Go’on and Kan’on. Nevertheless, Shu (シュ) can be classified as a Go’on and Shuu (シュウ) can be classified as a Kan’on in the same Chinese character because Shu (シュ) occurs in old texts. 5) Roku (ロク) and Ryoku (リョク) in the rhyme Zhong(鍾) that contained [wi] cannot be the standard of distinguishing the Sino-Japanese Go’on and Kan’on. Nevertheless, Roku (ロク) can be classified as a Go’on and Ryoku (リョク) can be classified as a Kan’on in the same Chinese character because Roku (ロク) occurs in old texts.
한국어
일본의 常用漢字 중에서 通攝韻에 해당하는 153字 172音을 대상으로, 이를 吳․漢 音 동형, 吳音, 漢音, 唐音, 慣用音으로 분류한 결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었다. 1) 通攝韻에 해당하는 153字 172音 중에서 吳․漢音 동형이 46音, 漢音이 64音, 吳音이 53音, 慣用音이 9音이라는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는 李京哲(2013a, 2013b) 와 李京哲․河素偵(2014)에서의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으며, 漢音의 비율이 吳音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지는 않다는 결과를 보인다. 2) 開口1等 東韻은 漢音에서는 일괄적으로 -ou/-oku형으로 출현하지만, 吳音에 서는 -ou/-oku형 이외에 -u형․-uu형이 출현하기 때문에 -ou/-oku형에 대해서는 吳音資料를 통해 일일이 확인 작업을 거쳐야 한다. 常用漢字․人名用漢字の漢音․ 吳音對照表(1996)와 많은 漢和辭典에서 [同洞銅胴童瞳動(定d)] 등의 [ドウ]를 慣用 音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이는 陽聲字의 -u형․-uu형만을 吳音으로 인정하고 -ou 형을 吳音으로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생긴 오류로, -ou형 역시 吳音의 자음형으 로 인정해야 한다. 3) 開口3等 東韻 乙類의 [スウ崇(牀ʤ)]를 佐々木勇(2009b:207)는 漢音의 자음형 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常用漢字․人名用漢字の漢音․吳音對照表(1996)에서는 吳 音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漢音形이라면 [シウ>シュウ]로 나타나야 할 것이다. 이 [スウ崇(牀ʤ)]는 漢音의 [シウ]에서 サ行子音의 口蓋性으로 인한 直拗의 混同으로 출현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4) 開口3等 東韻 甲類의 [シュ․シュウ衆(照tɕ)]는 [シュ]와 [シュウ]가 吳音과 漢音을 구별하는 명확한 기준이 될 수 있는 사항은 아니지만, 吳音이 漢音보다 오 래된 자료가 많고, 역사적으로 오래된 資料에 [シュ]表記가 우세하다는 점으로 인 해, [シュ]를 吳音으로, [シウ>シュウ]를 漢音으로 분류하였다. 5) 合口3等 鍾韻 甲類의 [ロク緑録(來l)]와 [リョク緑(來l)]처럼 來母字에 直音形의 [ロク]와 拗音形의 [リョク]라는 두 가지 자음형이 공존하는데, 시기가 오래된 자료 일수록 拗音形의 미정착으로 인한 直音形의 표기가 출현하며, 주로 吳音資料에서의 출현빈도가 높기 때문에 [ロク]는 吳音으로, [リョク]는 漢音으로 분류하였다.
목차
Ⅰ. 序論
Ⅱ. 本論
1. 開口1等 東韻
2. 開口1等 冬韻
3. 開口3等 東韻 乙類
4. 開口3等 東韻 甲類
5. 合口3等 鍾韻 乙類
6. 合口3等 鍾韻 甲類
Ⅲ. 結論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