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一般論文

안평대군 그룹의 문화적 토대와 창작 경향 - 조선 초기 관인문학의 이상향 찾기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Cultural Foundations of the Anpyung-Daegun Group and Their Creative Inclinations

김풍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reative inclinations toward utopian visions can be found in every society, though these visions may vary greatly. Influenced by the historical conditions and artistic notions of the era and society, these utopian visions are always in the process of being shaped and re-shaped.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foremost goal of the bureaucrat-literary men was to translate their political visions into reality. However, they also greatly desired to create a peaceful private space for themselves, and a life outside their political reality. The Anpyung-Daegun group is arguably the most exemplary artist collective from this period. Anpyung-Daegun actively engaged with young intellectuals from the Royal Academic Institution in order to share their poems, par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 the palace, they held a number of poetry society events, and recorded their poems on scrolls. The group also organized various creative activities during the prince’s retreat, through which we can trace their collective act of artistic creation. The Anpyung-Daegun group created their own versions of utopia in their private spaces. For instance, “Sokgasan” is a type of artificial mountain and rock garden. It represents the group’s vision of the hermit’s world. “Mongyudowondo,” depicting Murengdowon, is also a concrete example of their visions of utopia. In creating these artifacts, they wished to dissociate themselves from worldly life, which was dominantly characterized by their duties in the palace and public posts. Although the Anpyung-Daegun group could not abandon secular power, they wanted to pursue a different, uncommitted life. Their artistic pursuits of utopia are a result of this contradiction.

한국어

어느 시대에나 이상향을 찾고자 하는 경향은 존재하지만, 그 모습이 늘 같은 것 은 아니었다. 그것은 시대적 환경과 예술적 경향의 영향 속에서 모습을 달리했다. 조선 초기의 문화를 주도했던 관료 문인들의 경우 현실의 정치권력 속에서 뜻을 펼치는 한편 정치 현실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안온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공간을 만 들고자 했다. 조선 초기 관료 문인들의 집단적 예술 활동으로 안평대군 그룹을 들 수 있다. 안평대군을 중심으로 시문과 서화(書畵)를 즐기고 예술 활동을 했던 일군의 사람 들은 집현전 학사 출신의 명민하고 젊은 인재들이 많았다. 궁궐을 중심으로 여러 차례의 시회를 열어서 그 결과를 시축으로 남기거나 안평대군의 별서를 중심으로 모여서 이루어졌던 다양한 예술 활동에서 그들의 집단적 예술 활동의 모습을 살펴 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을 공유한 안평대군 그룹 관료 문인들은 이상향을 자신의 사적 공 간 안으로 끌어들여서 구현하고 그것을 주변 사람들과 공유하였다. 자신의 정원에 석가산(石假山)을 만들어서 집안에 신선세계를 만든다든지, <몽유도원도>와 같은 그림을 통해서 무릉도원을 체험하는 것이 바로 현실 속에 이상향을 구현하는 구체 적인 작업이었다. 이러한 행위는 번잡한 속세의 가장 중핵(中核)이라 할 수 있는 궁궐 혹은 관직 생활에서 벗어나려는 것이기도 했다. 세속적 권력을 버리지도 못 하지만 동시에 거기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고요한 생활을 하고 싶은 이중적 태도가 자신의 사적 공간에 이상향을 만드는 행위로 드러났던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생애
 Ⅱ. 안평대군 그룹의 구성원들
 Ⅲ. 조선 초기 정원문화의 발달과 안평대군 그룹의 문화적 경향
  1. 정원문화의 발달과 이상향의 실현
  2. 안평대군의 비해당(匪懈堂) 경영과 안평대군 그룹의 시문
  3. 현실과 이상향의 문화적 착종과 그 의미
 Ⅳ. 결론 : 이상향의 현실적 구현과 그 의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풍기 Kim, Pung-gi.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