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一般論文

高敞ㆍ扶安地域 地藏菩薩像의 編年과 造成背景

원문정보

A Study of Images of Ksitigarbha Bodhisattva in Gochang and Buan

고창ㆍ부안지역 지장보살상의 편년과 조성배경

陳政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sitigarbha is a Bodhisattva who took upon himself the task of saving humanity until the emergence of Maitreya Buddha. The faith in Ksitigarbha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around the 6th century and remained until the Joseon Period. Buan and Gochang, located on the west coast of Jeollabuk-do, are areas that attract considerable attention because of their association with the faith in Ksitigarbha. It is said that the monk Jinpyo (眞表) received the Pure Commandments from Ksitigarbha before receiving the two volumes of Scripture of the Fortunetelling and 189 strips of bamboo containing the writings of Maitreya Buddh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Buddhist sculptures originating from the end of the Goryeo Period through the early Joseon Period and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images of the hooded Ksitigarbha―who occupied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development of Koreans’ faith in Ksitigarbha―with a focus on the features and styles of these images and the background to the installation of such images in Gochang and Buan. The four seated Ksitigarbhas in the aforementioned areas, including the one at the Dosoram Hermitage of Seonunsa Temple, are all depicted wearing a hood. It is thought that the hooded image of Ksitigarbha, which first appeared during the late Tang Dynasty of China, was introduced to these areas―located on the trade route linking Goryeo with the Song Dynasty of China―in the course of cultural exchanges during the mid-Goryeo Period and thereafter. The gilt-bronze seated Ksitigarbha in the Dosoram Hermitage of Seonunsa Temple was produced in connection with the faith in Ksitigarbha and Maitreya Buddha that took root in these areas following the era of the monk Jinpyo. It is thought that this image was erected to commemorate the session held at Daechamsa Temple from 1347. The construction of the image had an impact on the area near Naebyeonsan Mountain in Buan, where the Jinpyo-led faith in Ksitigarbha and Maitreya Buddha was deeply rooted, and l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stone seated image of Ksitigarbha at Cheongrimsa Temple. As for the gilt-bronze seated Ksitigarbha in Guanyin Hall, Seonunsa Temple, it appears to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monk Haengho’s renovation of Seonunsa Temple in the 15th century, and may have been associated with Suryukjae (Shuiluzhai in Chinese), the rite performed for the living beings of water and land. The stone Ksitigarbha image in Daechamsa Temple (aka Chamdangam) is presumed to have been built amid Seonunsa’s widening influence in the Dosolsan area following its renovation.

한국어

地藏菩薩은 釋迦牟尼佛이 열반한 뒤 彌勒佛이 출현하기 전까지 모든 衆生을 구 제하기로 誓願한 보살이다. 이러한 지장보살을 믿는 지장신앙이 한반도에 대략 6 세기 무렵에 전래되어 조선시대까지 꾸준히 신앙되어 왔다. 본고는 진표가 미륵보살에게서 『占察經』 2권과 簡子 189개를 받기에 앞서 지장 보살에게 淨戒를 받았다고 하는 부안과 인근의 고창지역에는 있는 특정 시기(고려 말~조선 초), 특정 지역(고창․부안)에 특정 형식(두건착용)을 보이는 4구의 지장 보살상의 편년과 조성배경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선운사 도솔암 지장보살좌상을 비롯한 4구의 지장보살상은 모두 두건을 착용한 소위 두건지장이다. 고창․부안지역의 두건지장은 중국에서 晩唐期 이후 등장한 두건지장의 도상이 고려 중기 이후 송과의 문화 교류 과정에서 고려와 송을 잇는 항로에 위치한 이 지역에 전파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창․부안지역의 4구의 지장보살상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에 조성된 지장보살 상은 서산 부석사 금동관음보살좌상(1330년),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불좌상(1346년) 과 유사한 양식과 형식을 보이는 선운사 도솔암 금동지장보살좌상이다. 이 상은 두건을 착용한 것에서 이후에 조성된 이 지역 지장보살상의 모티프가 되었던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양감과 비례 등에서는 15세기 불상의 기운이 느껴지면서도 고려 불상의 착의법을 답습하고 있는 부안 청림사지 석조지장보살좌상이 15세기 전반에 조성되었다고 한다면, 1479년 이전에 제작된 수종사 금동석가여래좌상과 친연성이 강한 선운사 관음전 금동지장보살좌상은 15세기 3/4분기 경에 조성되었 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선운사 참당암 석조지장보살좌상은 성리학적 질서가 확립 된 15세기 4/4분기 이후에 조성된 북한산 상운사 석불좌상과 동일한 양식을 보이 는 것으로 보아 1500년을 전후한 시기에 조성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창․부안지역의 4구의 지장보살상은 조성시기의 차이가 나는 만큼 그 조성배 경도 제각각이다. 선운사 도솔암 금동지장보살좌상은 眞表 이래 이 지역에 뿌리를 내린 지장․미륵신앙과 관련이 있으며, 구체적인 조성 동기는 1347년부터 대참사 에서 설행된 진표계 법상종의 점찰회 성격이 짙은 생회와 관련이 깊을 것으로 보 인다. 즉 선운사 도솔암 금동지장보살좌상은 생회의 시각적 상징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이 상의 조성은 진표계 법상종의 영향이 강했던 부안 내변 산지역에까지 영향을 끼쳐 부안 청림사지 석조지장보살좌상이 조성되는 계기가 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반면 선운사 관음전 금동지장보살좌상과 선운사 참당암 석조지장보살좌상은 조선 초에 있었던 폐사, 1470년대 행호의 선운사 중창, 수륙재 설행이라는 일련의 과정에서 조성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高敞ㆍ扶安地域 地藏菩薩像의 特徵
 Ⅲ. 高敞ㆍ扶安地域 地藏菩薩像의 編年
 Ⅳ. 高敞ㆍ扶安地域 地藏菩薩像의 造成背景
 Ⅴ.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陳政煥 진정환. 국립전주박물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