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려해상국립공원의 물리해양학적 특성

원문정보

Physical Oceanographic Characteristics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김병국, 이창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 investigated physical oceanographic conditions seasonally varying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Mean water temperatures were 14℃, 20℃ and 11oC in spring, autumn and winter, respectively so that there was no vertical gradient of temperature. However, they were 22℃ at the surface layer and 16℃ at the bottom layer in summer, suggesting that stratification was formed. Mean salinities were 33psu in spring, autumn and winter so that there was no vertical gradient of salinity. However, they were 32psu at the surface layer and 33psu at the bottom layer in summer, suggesting that stratification was formed. On the other hand, this area indicated a different water mass in summer from the other seasons because of the inflows of the outer sea water as well as the Seomjin River freshwater. In particular, the cold water appearing in summer near Geojedo coastal waters turned out to be originated from the Bottom Cold Water of the Korean Strait. In addition, in this area the northerly wind mostly prevailed, except for the southerly wind in summer, and there was a scarce precipitation except for the spring.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계절에 따른 한려해상국립공원내의 물리해양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평균 수온은 춘계, 추 계 및 동계에는 14℃, 20℃ 및 11℃로, 수온의 연직경사가 없었으나, 하계는 표층이 22℃, 저층이 16℃로, 뚜렷한 성층을 보여주었다. 평균 염분의 경우에 있어서도, 춘계, 추계 및 동계는 33psu로, 염분의 연직경사는 없었으나, 하 계는 표층이 32psu, 저층이 33psu로 역시 성층을 보였다. 한편, 당 해역은 하계에 외양수 및 섬진강 담수의 유입으 로 인하여 타 계절과는 다른 수괴의 존재를 보여주었으며, 특히 하계에 거제도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저온수는 대한 해협 기원의 저층냉수의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당 해역은 하계의 남풍계열의 바람을 제외하고는 북풍계열이 우세하였고, 춘계를 제외하고는 강수량이 거의 없었다.

목차

요약
 Abstracts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결론
 사사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병국 Byeong Kuk Kim. 국립공원연구원 해양연구센터
  • 이창래 Chang-Rae Lee. 국립공원연구원 해양연구센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