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내 청소년 그림특성에 대한 연구-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표준집단 모집 연구-

원문정보

Characteristics of Normative Graphic Features in South Korean Adolescents -Focused o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송정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extended research of the Cultural Differences in Normative Graphic Features (Janna Milholland, 2011) focused on South Korean adolescents.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dolescents’ normative drawings.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316 adolescent with an age range of 14 to 18 years old. They were asked to draw a scene with a human figure and a tree. Twelve of the participants’ data sets were eliminated because they did not participate starting at the beginning of the research procedure. The total number of 304 data sets have been analyzed. Among 304 data sets, 30 data sets were separately categorized because they did not fit into the normative group due to a possible undisclosed diagnosis or a current DSM diagnosis. The collected drawings were scored using a content tally form that was modified from Ulman Personality Assessment Procedure (UPAP; Ulman & Dachinger, 1975). All participants were Korean, and statistics found in this study show that common factors of most participants included varied line, line use of medium width and medium pressure, carefulness, space use of the whole page, color use of conventional, integrated, and varied color, an average number of six to ten colors, natural, defined, several, related forms. Most of the participant used a graphic pencil and included fully formed human figures and trees that were influenced by cultural geographical features. Over one third of participants included the sun in their drawing and over seventy percent of participants who drew the sun used the color red. Over 100 participants of the 274 included a ground line, a single formed figure and tree, and implied an action and a season. Ninety-eight participants included knots in the tree.

한국어

본 연구는 각 나라별 청소년의 그림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고안된 연구의 일부로, Janna Milholland (2011)의 미국 청소년 표준집단의 그림 특성연구에 이어, 두 번째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그림 특성에 중점을 두어 진행되었으며, 계속해 서 미국 내 원주민, 남아프리카, 코스타리카 등 다양한 문화와 나라에서 협력 연구가 진행되었거나, 되고 있으며, 계속적으로 다양한 문화로 확장 될 예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14세에서 18세 사이의 중, 고등학교 청소년 316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그 중 12명은 자료수집 전체 과정에 참여하지 않았으므로 분석 에 되었고, 그들을 제외한 304명의 자료가 30명의 정신과적 진단을 가지고 있는 비교 집단 자료와 274명의 정신과적 진단이 없는 표준집단의 자료로 나뉘어 분석되었다. 모든 참여자는 한국 국적을 가지고 있었으며, 참여자의 성별은 여자 121명, 남자 178 명, 무응답 5명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에 참가한 청소년들은 사람과 나무가 있는 장면을 그리도록 지시받았 으며 수집된 그림은 Ulman과 Dachinger(1975)의 UPAP(Ulman Personality Assessment procedure)를 수정 보안한 내용점수평가지에 따라 채점 및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그 림 특성과 내용적 특성으로 나뉘어 평가 되었으며 참여자에 대한 이해를 위해 참여자의 정보에 대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그림 분석결과, 표준집단으로 정의된 그룹의 그림 특성으로는 다양한 선의 길이, 중간 굵기, 중간정도의 필압을 사용한 것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종이 전체를 사용하는 경 향성을 보였다. 색상 사용에 있어서는 전형적이고 통합적인 색의 사용 패턴을 보였으 며, 주로 6-10가지 정도의 다양한 색상을 사용하였다. 문화적 특성으로는 대부분의 참 여자가 연필을 사용하였으며, 1/3 이상의 참여자가 그림에 태양을 포함시켰고, 그 중 다수의 참여자가 태양을 빨강색으로 표현하였다. 274명의 표준집단 참여자 중 100명 이 넘는 참여자가 지반선, 한 명의 사람과 한 그루의 나무를 포함시켰고, 예측할 수 있는 사람의 행동과 계절 배경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배경과 중요성
  2. 문제제기
  3. 연구목적과 질문
  4. 용어정리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Ⅲ.연구결과
  1. 설문지
  2. 내용 채점지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정은 Song, Jeong-Eun.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