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華音啓蒙諺解》의 漢語音 표기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inese reading reflected in Huayinqimengyanjie

《화음계몽언해》의 한어음 표기 연구

愼鏞權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본고에서는 《華音啓蒙諺解》(이하 《華諺》)의 漢語音 표기를 《飜譯老乞大》와 《飜譯朴通事》(이하 《飜譯老朴》)의 우측음 표기와 비교하여 《華諺》에 나타난 漢語音 표기의 성격을 살펴보고 표기에 반영된 漢語音의 몇 가지 특징을 논의한다. 이를 위하여 두 문헌에 나타난 漢語音의 聲母와 韻母 표기의 비교표를 제시하고, 각 표기 항목의 대응 관계를 살펴본다. 두 문헌의 각 글자의 표기에서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적지 않게 나타나고, 음운변화 등의 요인 때문에 두 문헌의 동일한 漢語音 표기가 나타내는 漢語音이 다른 경우가 나타나지만, 《飜譯老朴》 우측음 표기의 기본적인 성격인 國俗撰字之法은 《華諺》의 漢語音 표기에서도 계승되어 나타나고 있다. 또한 《華諺》의 漢語音 표기에 반영된 漢語音系의 몇 가지 특징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華諺》의 漢語音이 전반적으로는 19세기 후반 北京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 통용된 北方官話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으나, 北京語 音韻史의 측면에서는 설명하기 어려운 표기도 상당수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국어

本文将《華音啓蒙諺解》(以下簡稱《華諺》)的漢語音表记與《飜譯老乞大》ㆍ《飜譯朴通事》(以下簡稱《飜譯老朴》)的右側音表记进行比较,考察了《華諺》中出现的漢語音表记的性质,并论述了表记中所反映的漢語音的幾個特徵。为此,首先列出了兩個文献中出现的漢語音聲母和韻母表记的比较表,详细地论述了各表记项目中一般的对应關係和例外的对应关係。通过比较,兩個文献的文字表记表现出很多的差異,而且由于音韵变化等原因,会出现同一表记在兩個文献的汉语音表记中分别表现不同的漢語音的情况,但可以看出《華諺》的漢語音表记繼承了《飜譯老朴》右側音表记的基本性质―國俗撰字之法。同时,本文考察了《華諺》的漢語音表记所反映的漢語音系的幾種特徵,《華諺》的漢語音全面的展示了19世纪後期北方官話的面貌,但是其中有很多从北京官話音韻史的层面無法说明的表记。这说明想要正確掌握《華諺》中反映的漢語音韵系統,不仅要了解漢語音表记的性质,还需要对方言背景问题等进行缜密的考察。《華諺》一直被认为是展现19世纪後期北方漢語面貌的重要资料,但是书中出现的漢語音表记的特點和性质并没有得到很多的关注。在对最早的譯學書諺解《飜譯老乞大》ㆍ《飜譯朴通事》中確立的譯學書的漢語音表记方式,特别是“國俗撰字之法”在朝鲜後期的资料中是如何體现的这一问题进行考察时,《華諺》的漢語音表记是十分合適的资料。期待今後《華諺》的漢語音表记的性质和價値能够得到更加深入的研究。

목차

1. 서론
 2. 《華音啓蒙諺解》의 漢語音 전사 도식
  2.1. 聲母
  2.2. 韻母
 3. 《華音啓蒙諺解》의 漢語音 표기의 성격
  3.1. 漢語音 표기의 전통과 國俗撰字之法
  3.2. 《華音啓蒙諺解》의 漢語音 표기의 특징
 4. 표기에 반영된 漢語音의 몇 가지 특징
  4.1. 聲母
  4.2. 韻母
 5. 결론
 參考文獻
 中文摘要

저자정보

  • 愼鏞權 신용권. 인천대학교 중어중국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