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전통춤 장단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hythmic Patter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임수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has been built up on the basis of jangdan(rhythmic pattern), it is possible to show its authentic dance vocabularies after fully mastering various jangdans. Therefore,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dance masters, who emphasize on learning jangdan, dancers need to be well-versed into the rhythmic patterns of the dance they want to perform in order to have a perfect command of its movements. However, dancers today give mostly focus on training dance, overlooking the patterns within jangdan. As dance is normally performed to the background music and Korean traditional dance has been closely related to music, the understanding of music and jangdan is necessarily preceded in order to reach to the total master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he music and jangdan used for major Korean traditional dances designated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uch as Seungmu(monk dance), Jinju-geommu(sword dance of the Jinju region), Seungjeonmu (victory dance), Salpuri chum(spiritual-cleansing dance), Taepyeongmu(peace dance), Hakyeonwhadaehapseolmu(Muhak crane dance), Cheoyongmu (Cheoyong shaman dance) are follows:Firstly, the music used for traditional dances are classified as several subgenres: Samhyeonyukgak (meaning “three strings and six horns”) series; Sinawi(musical improvisation based on various rhythmic and melodic devices) series; Yeongsanhoesang(a Korean court music repertoire originated from Buddhist music) series; Court music series. The jangdan of Seungmu and Jinju-geommu using Samhyeonyukgak series is called yumbul, taryeong, gutgeori etc, but their melodies adopt from other different series such as Hyangje-samhyeonyukgak(hyangje means “to spread out into the provinces”). The dances using the music and jangdan of Sinawi series are found to be Do-salpuri chum(one of salpuri chums using suburban shamanic ritual music), Taepyeongmu, and Salpuri chum, among which Do-sapluri chum and Taepyeongmu use the melody and jangdan from the ritual music developed in Gyeonggi province, suburban area of Seoul, and Salpuri chum use the ones from the ritual music originated in Jeolla province, southwestern area of Korea. The court dances such as Hakyeonwhadaehapseolmu and Cheoyongmu mostly use the melody and jangdan of Yeongsanhoesang or court music repertories including Sujecheon(an ancient Korean court music composition, usually performed by ensemble of wind instruments, meaning “Long Life, Immeasurable as the Heavens”). Secondly, the jangdan used for Korean traditional dance is proved to take the types of regular and irregular pattern including fixed number of tempo within a jangdan, among four types of jangdans. Thirdly, the jangdan has mostly ten beats, eight beats, six beats, and four beats (or twelve beats, in case of using an eight note for a unit). Fourthly, the jangdan encompasses from very slow one(󰁜=25) to very fast one(♪=208). The change of jangdan has the structure called Man-jung-sak, starting with slow jangdan to drive with fast one. The jangda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designated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s composed of the one used for Samhyeonyukgak series, Sinawi series, Yeongsanhoesang series and court music series. However, there are various jangdans related to dance in other shamanic ritual musics from each province. As in the case of Taepyeongmu and Salpuri chum that have been formed on the basis of jangdan used for shamanic ritual, it needs to find and recompose dance vocabularies by making the most use of various jangdans in order to make the traditional cultural assets including music, jangdan and dance be commonly recognized.

한국어

한국의 전통춤은 장단을 기화로 하여 표현되는 예술이므로 장단에 대한 철저한 이해와 학습이 이루어졌을 때 비 로소 올바른 춤사위의 표현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전통예인들은 춤을 추기 전에 춤을 구성하고 있는 장단을 자 신이 칠 줄 알아야 정확한 동작을 할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장단 학습을 중시하였다. 하지만 지금의 현실은 춤사 위의 학습에 치중하여 장단과 함께 하는 전통적인 학습 방법이 사라지고 있으며 장단에 내재된 호흡을 간과하고 있다. 춤은 음악을 바탕으로 하여 추어지는 행위이고, 한국의 전통춤은 음악과 표리일체의 관계로 형성․정착되어 왔기 에 전통춤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표현하기 위해서는 음악과 장단에 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한국의 전통춤(「승무」, 「살풀이춤」, 「진주검무」, 「승전무」, 「태평무」, 「처용무」, 「학연 화대합설무」)에 사용된 음악과 장단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첫째, 전통춤에 사용된 음악은 삼현육각 계열, 시나위 계열, 영산회상 계열, 궁중음악 계열로 분류된다. 삼현육 각 계열의 음악을 사용하는 춤인 「승무」, 「진주검무」, 「승전무」의 장단은 염불, 타령, 굿거리 등으로 동일하게 나 타나지만 선율은 향제 삼현육각으로 다르게 나타난다. 시나위 계열의 음악과 장단을 사용하는 춤은 「도살풀이춤 」과 「태평무」, 「살풀이춤」으로 「도살풀이춤」과 「태평무」는 경기도당굿의 선율과 장단을 사용하고, 「살풀이춤」은 전라도 굿에 사용되는 선율과 장단을 사용한다. 궁중무용인 「학연화대합설무」와 「처용무」에는 현악 영상회상과 관악 영산회상의 선율과 장단을 주로 사용하고 수제천 음악, 향당교주 음악 등도 사용한다. 둘째, 전통춤에 사용되는 장단은 한국 장단의 네 가지 유형 중 한 장단의 박자수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는 유패턴 불균등형과 유패턴 균등형으로 나타난다. 셋째, 전통춤에 사용되는 장단은 10박 장단과 8박 장단, 6박 장단, 4박 장단(혹은 12박 장단, 3분박 4박 장단은 ♪ 을 박의 단위로 했을 때는 12박으로 인식된다.) 등을 주로 사용한다. 넷째, 전통춤에 사용되는 장단은 한 박의 속도가 매우 느린 장단(󰁜=25)부터 매우 빠른 장단(♪=208)으로 다채롭 게 구성되어 있다. 느린 속도의 장단으로 시작하여 빠른 속도로 몰아가는 만․중․삭의 구조로 장단 변화가 진행되 며, 같은 장단이라도 각 지역에 따라 혹은 춤의 특성에 따라 타법을 달리하여 연주한다.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전통춤의 장단은 삼현육각 계열에서 사용되는 장단과 시나위 계열, 영산회상 계열, 궁 중음악 계열에서 사용되는 장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외에도 각 지역의 무속 장단에는 춤과 관련된 다 양한 장단들이 존재한다. 태평무와 살풀이춤 등이 무속에 사용되는 장단을 바탕으로 형성되었듯이, 앞으로는 무 속에 사용되는 다양한 춤 장단을 활용한 춤사위의 발굴과 재구성 등이 이루어져 춤과 함께 음악, 장단 등의 문화 유산이 널리 보급되어야 한다.

목차

I. 머리말
 II. 반주 음악
 III. 장단 분석
 IV. 전통춤 장단의 유형별 분류
 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임수정 Lim, Soo-Jung. 경상대학교 민속무용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