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야외교육의 전문성 이해와 교육적 지향

원문정보

Understanding and expertise in outdoor education and education-oriented

이주욱, 윤대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utdoor education emphasizes diverse experiences from the internal growth which is expected from the learners, to the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experiences. It is also the needs of this time and reflected in the education system of Korea. However the goal of outdoor education is not well defined and philosophical efforts to clarify it is also not enough. In this respect, we tried to define the goal and investigated professionalism of outdoor education. Specifically, we investigated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instructors of physical education. The goal was investigated in two areas 1) holistic experience and problem solving skill and 2) aiming self-reflective practitioner. The idea was that educators must not aim simple educational efficiencies but have to become self-reflective practitioners through everyday lif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firstly, a safety manual is required to avoid possible injuries and to give first aid in an unfortunate occasion, secondly, an education program is required to train outdoor professionals and lastly, outdoor education should not remain in the boundary of formal education but should be included in non-formal education.

한국어

야외교육은 학습자에게 기대하는 내적 성장부터 생태와 환경까지 다양한 체험을 강조한다. 더불어 야외교육 의 공동체성, 생태적 관점 등의 중요성은 시대적 요구이기도 하다. 이러한 야외교육은 우리나라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에도 반영되어 문서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야외교육에 대한 교육목표가 뚜렷하지 않고, 철학적 고민이 부족한 실 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야외교육에 대한 교육목표를 명확히 하고, 전문성에 대한 담론을 분석해서 지향점을 제 시하였다. 야외교육의 전문성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교사’ 전문성, ‘체육 교사’의 전문성을 분석했다. 야외교육의 지 향점으로는 첫째, 총체적 체험과 문제해결능력, 둘째, 반성적 실천가로의 지향으로 구분했다. 이는 야외교육은 효율적 지도방법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지도자 자신의 삶과 행위를 통해 지속적으로 성찰하고 실천하는 전문인으로 거 듭나야 한다는 것이다. 결론으로는 첫째, 야외교육 체험에서 안전에 대한 문제 해결을 위한 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야외교육을 가르칠 수 있는 전문인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야외교육을 학교교육으로 한 정하지 않고, 비제도권 교육에 포함시켜야 함을 제시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교사’의 전문성 담론 분석
  2.1 체육교사에 대한 전문성
 3. 야외교육의 목표 및 전문성 분석
  3.1 야외교육 가치 실현을 위한 전문성 탐색
  3.2 야외교육 적용을 위한 기반 조성
 4. 야외교육의 교육적 지향
  4.1 총체적 체험과 문제해결능력의 지향
  4.2 반성(성찰)적 실천가로의 지향
 5. 결론
 ACKNOWLEDGMENTS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주욱 Joo-Wook Yi. 충남대학교
  • 윤대현 Dae-Hyun Yun. 충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