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지역 환경적 요인이 한국 여성의 유방암 조기검진 수검률에 미치는 영향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Breast cancer screening rates-related factors Korea women ever considering area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Ⅳ)

이미화, 김상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we analyzed an effect of area-environmental factor on breast cancer screening rates using multi-level analysis. It was intended for the KNHANES-Ⅳ. Total subjects were 14338. Among them, 4143 subjects met the inclusion criteria. When we applied only empty Model, a variance of breast cancer screening rates was 0.061 in each region. When we applied Model with individual level variables, the variance was 0.034. However, when we applied both Model with individual level variables and Model with area level variables, the variance was 0.023. We drew applied only individual level variables parallel applied 3 regional variances which could explain variance of inspection of breast cancer up to 18.04% compared with applied only individual level variables. Area level variables could reduce a variance of region. This means besides individual level variables. The group can share a same thing and can effect to breast cancer screening rates. We need to discover factors which area level variables and suggest that make a standard for inspection of breast cancer.

한국어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를 중심으로 다수준 분석을 이용해 지역 환경적 요인이 유방암 수검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총 14,338명의 대상자 중 연구목적을 충족하는 4,143명을 분석하였다. 통제변 수를 포함하지 않은 기초모형의 유방암 수검률의 지역 간 분산은 0.061이고, 개인변수만을 적용했을 때 지역 간 유방 암 수검률의 분산은 0.034이었다. 분산의 변화율은 44.26%였다. 또한 개인변수와 지역변수를 함께 적용했을 때 지역 간 유방암 수검률의 분산은 0.023이다. 분산의 변화율은 62.30%로서, 지역변수 3가지(유방 악성 신생물로 인한 여성 의 십만명당 연령표준화 사망률, 유방촬영장치, 일반회계 중 복지예산(사회보장) 비중)가 지역 간 유방암 수검률의 분 산을 18.04%를 추가로 설명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적 요인 이외에 지역 환경적 요인이 동일 지역의 특성을 공유함으로써 유방암 수검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유방암 수검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 는 연구에서는 지역 환경적 요인들도 중요하므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의 설정
  2.3 자료 수집
  2.4 조사 내용
  2.5 분석 방법
 3. 연구 결과
  3.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연구모형 1
  3.3 연구모형 2
  3.4 연구모형 3
 4. 고찰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미화 Mi-Hwa Lee. 한서대학교 보건의료학과,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김상현 Sang-Hyun Kim. 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을지대학교 방사선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