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식 배치를 통한 일상 실천의 사회과 교육

원문정보

Ordinary Praxis Through Knowledge-Assemblage In Social Studies

박희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ways to overcome the limit of modern knowledge assemblage by examining the problem of education in Social Studies using the arrangement of modern knowledge, and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Modern knowledge of education in Social Studies is arranged. Type of arrangement implements the constant value fixed through discourse of identity. Arrangement of modern knowledge maximizes the prediction and analysis based on the background of separation and category and abuses reason almighty as the foreground of rationalism. However, there are weak points in education of Social Studies. Education of social educations of daily praxis through knowledge arrangement is to find the knowledge of creation and secret contact of daily praxis overcoming the limit of modern knowledge arrangement. That is, it is to allow the irrationality of body (nature), emotion and unconsciousness and to affirm the heterogeneity getting out of identity. it is to find out network of neighborhood relation and knowledge of aspects created by qualitative validity and hybridity. Knowledge assemblage enables actual creation of dynamic knowledge through daily praxis abandoned by the modern knowledge of education in Social Studies.

한국어

본 연구는 근대 지식의 배치를 차용한 사회과 교육의 문제를 검토하여 근대 지식 배치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안을 찾아보려는 것이며 문헌연구를 통하여 진행되었다. 사회과 교육의 근대 지식은 배치되어 있다. 그 배치의 형태는 동일성 담론에 터하여 고정된 상수 값을 구현하고 있다. 근대 지식의 배치는 분리와 범주를 배경으로 하여 예측과 분석을 극대화하고 합리주의를 전경으로 하여 이성 만능주의를 전가의 보도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근대 지식 배치가 가능한 이유는 현전의 형이상학과 주체에 의한 대상화 및 타자의 표상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사회과 교육의 근대 지식은 맹점을 지니고 있다. 지식 배치를 통한 일상 실천의 사회과 교육은 근대 지식 배치의 한계를 극복하는 실제적인 일상 실천의 접선 지식, 생성 지식을 찾으려는 것이다. 즉 동일성을 벗어나는 이질성을 긍정하고 몸(자연)과 감정, 무의식이라는 비합리를 허용하는 것이다. 동시에 생태를 서로 주체로 인정하는 홀리스틱을 추구한다. 또한 혼종성과 질적 다양체가 만들어가는 양태의 지식 및 이웃관계 네트워크를 찾고자 한다. 지식 배치는 사회과 교육의 근대 지식이 방기한 일상 실천을 통한 실제의 역동적인 지식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 일상과 지식의 분리
 II. 근대 지식 배치와 지식 배치 자체의 차이
 III. 사회과교육의 지식과 지식 배치
 IV. 지식 배치를 통한 일상 실천의 사회과 교육 방안
 V. 이질성과 담론 공존을 향하여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희만 Park, Hee-Man. 서울창림초등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