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세 동아시아 사상공간과 후지와라 세이카

원문정보

East Asian thought space in the early modern and Fujiwara Seika

이호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ujiwara Seika is called as the founder of Japanese Confucianism after he appeared in Confucian scholar outfit and went into a dispute with Zen priests who were in the circle of Tokugawa Iaeyasu. We can see that Fujiwara Seika has tendency of mixed the Philosophy of Zhu-xi and Wang Yangming but if we look into his thought closely even though he turned to Confucian scholar after he had confirmed Confucianism through reading the books of Neo-Confucianism that were published in Joseon and communicating with Joseon Neo-Confucian scholars like Huh Sung and Kang Hang. In 16thcentury, the Philosophy of Zhu-xi and Wang Yangming was both existed in China and Joseon, the country of the Philosophy of Zhu-xi. We can see that Fujiwara Seika’s thought of mixed the Philosophy of Zhu-xi and Wang Yangming has been formed after communicating with the operator, Huh Sung, the influence of the books that Japan stole from Joseon and academic exchange between him and Kang Hang who was captured as a prisoner in Japan.

한국어

후지와라 세이카(藤原惺窩)는 1590년 통신사로 일본을 방문한 허성(許筬)과 통교하여 유교를 확신한 후 불교를 비판하고 1594년에는 도명을 결의하지만 실패하고 만다. 그 후 임진왜란시 포로가 되어 일본에 연행된 조선의 유학자 강항(姜沆)과 통교를 통해 유교의 의복제도로부터 공자제사에 이르기까지 유학・주자학 전반을 깊게 이해하게 되었다. 그리고 1600년에 는 천하통일을 이룬 토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 앞에 심의도복(深衣道服)을 착용하고 나타나 이에야스의 측근 선승들과 논쟁을 벌여 근세일본 주자학의 개조라고 불리운다. 허성, 강항 등 이퇴계 학파의 조선의 유학자와의 통교를 통해 유교를 확신하고 조선본 주자학서 등을 통하여 이퇴계의 영향을 크게 받은 후지와라 세이카였지만 그의 사상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주륙절충적(朱陸折衷的) 경향을 띠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16세기 동아시아는 양명학이 등장한 중국은 물론 ‘주자학 의 나라’라고 일컬어진 조선에서도 정주학(程朱学)과 육왕학(陸王学)은 혼재하고 있었다. 조선의 경우 장유(張維), 최명길 (崔鳴吉)같은 양명학자는 조선조정의 최고위 관직까지 진출하였고 주자학계에서도 명나라에서 서적을 수입하고, 명사(明 使)와의 접촉 등으로 인해 심학중시(心学重視)의 경향이 나타난다. 이러한 사상공간 안에서 통신사 허성과 후지와라 세이카의 통교, 토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침략시 조선으로부터 약탈해간 조선본서적의 영향, 일본에 포로로 연행된 강항과의 교류 등을 통해 후지와라세이카의 사상이 형성되었다고 여겨진다.

목차

1. 들어가며
 2. 후지와라 세이카의 사상
  2.1 후지와라 세이카의 사상형성
  2.2 후지와라 세이카와 조선주자학
  2.3 후지와라 세이카의 심학(心學)사상
 3.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심학의 공시적 전개
  3.1 명조 정주학(明朝 程朱学)의 심학화(心学化)
  3.2 조선사상계(朝鮮思想界)의 심학화(心学化)
 4. 나오며 - 동아시아의 지식 네트워크와 후지와라 세이카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이호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