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나쓰메 소세키의 『칼라일 박물관』과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개화의 남편』고찰 - 박물관을 통해 본 메이지의 근대적 모습

원문정보

A study on “kaikano husband” of Akutagawa Ryunosuke and “Kalailmuseum” of Natume soseki - through museum in the works in the modern aspect of meizi period -

손순옥, 이경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rough "Kalail museum" of Natume Soseki, we can understand for study library in his study room and his house lived with his wife of Carlyle himself and was written to surrounded landscape and in museum appeared on the stage in husband of civilization by the copperplate print and in first, it recollects the mixed modern ages of mixed Tokyo in the past. in second, he recollects how he thinks for modern ages thru marriage and love by marriage of protegonist thru love. At that time, the foreigners came in Tokyo and build house and live in squeage and so it changed as the new city and appeared public park and theater and it means that the intellectuals make a positioning to receive the space to spend the cultural living, and the erotic love among the male and female naturally come to the male and female. Akutagawa had also lived in Sukiji living place where the foreign persons lived, from his young season while his young period and therefore, he comes to look at things repeated destroy and reconstruction. Therefore, he may look back the landscape a lot for a landscape at that time. As that background and environment as above, in beginning of Mage by the above background or environment, we may look at to wish to carry out again negotiating customs of the flowering time.

한국어

나쓰메 소세키의 『칼라일 박물관』을 통해서는 근대의 칼라일이 자신의 아내와 살았던 집과 내부의 서재와 그 주변의 풍경에 대해 씌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아쿠타가와의 『개화의 남편』에 등장하는 박물관에서는 동판화를 통해 첫째는 과거의 도쿄의 혼합된 근대의 모습 회상. 둘째는 우키요에를 통해 그 시대의 친구의 연애를 통해서 주인공의 결혼관과 연애관을 통해서 근대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었는가를 회상하고 있다. 그 당시 도쿄에는 외국인들이 들어와 쓰키지에 집을 짓고 살면서 그 부근이 새로운 도시로 변모하고 공원이나 극장이 들어서 지식인들이 문화생활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매김을 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공간으로 인해 남녀 간의 연애는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아쿠타가와도 어릴 때부터 외국인들이 거주하는 쓰키지 거류지에 산 적이 있어 그 부근이 메이지로 인해 파괴와 건설을 반복하는 것을 보아왔다. 때문에 그 시대의 풍경을 많이 그리워했을 것이다. 아쿠타가와는 위와 같은 배경이나 환경으로 인해 메이지 초기, 즉 개화기의 화양절충 풍속이나 분위기를 재현하고 싶었다고 볼 수 있다.

목차

1. 서론
 2. 일본의 근대 박물관의 성립과 배경
 3. 칼라일 박물관
 4. 『개화의 남편』속의 동판화와 우키요에
  4.1 동판화 속의 쓰키지 거류지의 모습
  4.2 우키요에를 통한 과거의 회상
  4.3 미우라의 집과 내부구조
  4.4 미우라의 아내
 5. 결론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손순옥 동의대학교 인문대학 일어일문학과 강사
  • 이경규 동의대학교 인문대학 일어일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