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条件表現に現れる遂行モダリティの条件形態 - 本語と韓国語の対照の観点から

원문정보

The Morphology of Condition of Performativity Modality Found in Japanese Conditional Expression - Focusing on corresponding Korean morphology -

일본어 조건표현에 나타나는 수행 모달리티의 조건형태 - 대응하는 한국어의 형태를 통해 -

金慶恵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studying Performativity modality focusing on Japanese expressional intension in conditional sentences. In usual, [ba・tara] are found in Performativity modality sentence, corresponding to Korean 「- myeon」 and 「-geodeun」. In Performativity modality which has conditional expression, the more closer the relationship between antecedent clause and following clause, the higher the realistic possibility of following clause becomes. Sentences with this feature has a high possibility of [tara]. It is one of the conditions which makes the possibility of materialization of conditions higher for [tara] to have practical scope of meaning. In this case, there's no limitation of using the corresponding 「-myeon」, because it is the form that can require action regardless of the situation of the speaker or listener. However, for 「-geodeun」, there is the condition for the speaker, , and for the condition for the listener. Moreover, there's limitation on the Performativity expression that the intentional expression related to the speaker is not possibile in the following clause. [nara] can be used with both objective and Performativity modality and suggest not only the information of the listener but the information of the speaker as a condition according to the sentence. The form of [ba・to・tara・nara] in Japanese conditional expression can occur with both objective and Performativity modality. [nara] is in the dependent clause in a variety of expressions and has the difference with [ba・to・ tara] in the aspect of tense expression. Its corresponding Korean 「-myeon」can occur with both objective and Performativity modality, however, it's only limited to the conditional expression. Moreover,「-geodeun」occurs with Performativity modality that doesn't have the subjunctive mood and has limitation on the Performativity expression.

한국어

본고는 일본어 조건문의 표현의도에 초점을 맞추어 대인적 모달리티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대인적 모달리티 문에는 주로 [ba・tara]가 나타나고, 한국어는 「-면・-거든」이 대응한다. 조건형태가 나타나는 대인적 모달리티 문에서는 선행절과 후행절의 관계가 긴밀할수록 후행절의 실현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성격을 갖는 구문에는 [tara]의 출현빈도가 높다. [tara]가 명제내용영역에 나타나는 것도 조건성립 가능성을 높이는 조건 에 든다. 이 경우에 대응하는 「-면」은 화자와 청자의 사정이나 상황과는 관계없이 행위를 요구할 수 있는 형태이므로 사 용제한이 없다. 그러나 「-거든」은 화자에 관한 사항의 경우는 <조건절의 주체≠화자=행위자>, 청 자에 관한 사항의 경우는 <조건절의 주체≠청 자=행위자>의 등식이 조건이고, 후행절에는 화자와 관계된 의지표현 등이 가능하지 않다는 인칭 의 제한이 있다. [nara]는, 대사적 모달리티와 대인적 모달리티 모두와 함께 나타나며 청자 측의 정보 뿐 아니라 문 환경에 따라 서는 화자 측의 정보도 조건으로 제시할 수 있다. 일본어 조건표현에 나타나는 형태 [ba・to・tara・nara]는 대사적 모달리티와도 대인적 모달리티와도 함께 나타나는데, [nara]구문은 다양한 표현의 종속절이 나타나고, 시제표시 면에서도 [ba・to・tara]와 다른 면을 가지 고 있다. 대응하는 한국어 「-면)」은 대사적 모달리티와도 대인적 모달리티와도 함께 나타나지만 조건표현만을 나타낸 다. 그러나 「-거든」은 조건표현에서도 가정성이 없는 대인적 모달리티와만 함께 나타나며 인칭제한이 있다.

목차

1. はじめに
 2. 条件表現を表す表現形態の類型別分類
 3. 条件文に現われる遂行モダリティの条件形態
 4. 「なら」条件文とモダリティ
 5. 終わりに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金慶恵 김경혜. 仁川大学校 師範大学 日語教育科 教授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