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년예배의 예전적 요소의 필요성과 확대에 관한 연구 - 기독교대한감리회 청년예배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On liturgical elements for youth worship - focused upon the youth worship in Korean Methodist Church.-

전병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otestant Church in Korea has made serious and sincere effort to transform the form of worship since 1980’s. This effort has given birth to three emerging forms of worship. The first is a praising worship or an open worship which has been influenced by a free form of spiritual-presence-centered worship. The second is liturgical worship that has been influenced by the worship reformation movement for communion recovery movement, which aimed at the recovery of traditional liturgy. Lastly, the third is the traditional preaching-centered worship of Korean Protestant Church, which has derived from the forms the missionaries in the past taught. It has been a tidy cultural stream to have open worship in the form of praising worship for youth or young people. It does not stop at trying to introduce some change into traditional form of worship. Further, it has become a trend to replace the traditional form with different forms and styles of worship. The reasons for this are accommodation with the sentiment of the young generation and cultural adaptation to the change of the age. However, its real effect seems to only seek for the numerical growth of the youth members by satisfying their emotional and cultural needs. This is another form of standardization of the form of worship in a way to relegate worship to a meeting with its own special forms and styles by reason of only satisfying the emotional and cultural sentiments of young generation. The introduction of liturgical elements into the youth worship prevent it from demoting worship to social meeting.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worship tradition of Korean Protestant Church as well as youth worship are the liturgy of the Words and the liturgy of the Communion. These should include ‘entrance,’ ‘Word’(God speaks), ‘communion’ or thanksgiving’ and dismissal or sending, as Robert E. Webber shows in his traditional fourfold pattern of liturgical worship. As a result of surveying some representative worship services for young people in Korean Methodist Church, these open worships commonly lack a clear form of entrance and miss communion. They are full of modern cultural apparatus, which reflects the age of the youth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There is an urgent need to integrate two cultures of worship. For that purpose, one needs both to find a way to preserve the traditional elements of worship in order to keep the holiness of worship abundant and to be sensitive to the cultural needs of young generation. It does not mean that we have to automatically or forcefully insert or add the traditional elements to open worship. In order to generate an integrated form of worship for youth as well as the older, there needs studies and discussion between worship leaders and theologians.

한국어

한국의 개신교회에는 1980년대 이후 예배의 변화를 위한 노력과 실천이 지속되고 있다. 그 영향으로 대략 세 종류의 예배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하나는 ‘성령임재 중 심의 자유로운 예배’의 영향을 받은 ‘찬양과 경배예배’ 또는 ‘열린 예배’이고, 하나는 ‘전통의 예전적 예배의 회복’으로서의 성례전 회복운동이라는 예배 갱신 운동에 영향 을 받은 ‘예전적 예배’이다. 또 다른 하나는 예배의 변화에 별다른 관심이 없이 과거 선교사들로부터 전수된 예배 형식을 충실히 따르는 ‘설교 중심’의 ‘한국 개신교 전통 예배’이다. 청년예배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경우 ‘찬양과 경배’식의 ‘열린 예배’를 드리는 경향 으로 흘러가고 있는데, 문제는 이러한 청년예배가 전통적인 예배에서 변화를 구하는 정도에서 지나쳐 아예 다른 예배의 형식과 스타일을 취하는 것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 다는 것이다. 그런데 청년예배를 따로 드리는 교회의 대다수가 그 예배를 예전적 전 통에서 벗어나 주로 찬양경배예배에 몰입하는 이유가, 청년 연령층에 따른 세대적인 정서와의 합치와 시대의 변화에 따른 문화적인 적용을 내세우면서도, 실제적으로는 청년들의 정서적이며 문화적인 요구를 만족시킴으로써 청년 신자의 숫자적 확장을 꾀 하는 데만 있다고 한다면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이와 같이 청년예배가 청년들 자신만의 문화적이며 정서적인 만족만을 추구하며 이뤄지는 일반적이고 획일적인 형태가 되어 ‘예배 아닌 집회(meeting)’로 떨어지지 않 도록 하는 대안으로써, 청년예배에 기독교회의 전통적인 예전적 요소들을 제공하여 실행하게 함으로서, 청년들의 모임이 교회안의 또 다른 이질적인 교회가 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청년예배뿐만 아니라 한국의 개신교회가 회복시켜야 할 예배 전통은 바로 기독교 회 예배의 초기 전통인 ‘말씀의 예전’과 ‘성만찬의 예전’이라는 구조이다. 그리고 로버 트 웨버가 주장하는 대로 현대에 있어 예전적인 예배의 전통적인 4중 형식인 ‘입례’ (회중이 예배에로 들어옴), ‘말씀’(하나님의 말씀), ‘성찬 또는 감사’(감사로 하나님께 응답), ‘폐회’(주를 사랑하고 봉사하기 위한 파송)의 구조를 견지하는 것이다. 감리교회의 대표적인 몇 교회의 청년예배를 살펴본 결과, 청년예배 속에 전통적인 예전의 요소들 중에 시작 예식인 입례가 불분명해지고, 성만찬과 같은 성례전이 빠져 있는 한편, 청년이라는 나이와 시대적 특성을 반영하는 현대의 문화적이며 장치적인 요소들이 많이 첨가되어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청년예배의 연령층과 시대의 문화적인 특성을 무시하지 않으면서도, 청년예배가 교 회의 전통을 지켜가며 경건함을 더한 예전의 풍부함을 이루기 위해서는, 청년예배에 예전적 전통의 요소들을 기계적으로 삽입하거나 첨가하는 것보다는 청년예배를 담당 하는 교회현장의 예배인도자들과 예배학자들이 함께 모여 논의하고 연구하여 청년예 배의 바람직한 모델들을 만들어 내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문제 제기와 논문의 목적
 II. 논문의 범위와 한계
 III. 기독교 전통 예전의 구조와 이해
 IV. 현대 한국의 개신교 예배와 변화의 동향
 V. 현대 한국 감리교회의 청년 예배 이해
 VI. 결론으로서의 제안
 VII.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병식 Byoungsik Jeon. 배화여자대학교 교수, 실천신학, 예배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