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구약성서 연구사

시편연구사 - 1990년 이후 현재까지 -

원문정보

The Psalms research in current Study since the 1990‘s

김태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rvey a number of current studies in Psalm studies since 1990s and provide an overall perspective. For this study I have examined the major psalm studies of foreign scholars and korean scholars at the same time. Using the diachronic and synchronic methodologies, the current Psalm studies show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the diachronic methodology, namely the classical form critic including the questions about Gattung, the original life setting(Sitz im Leben) is not predominant any more in Psalms studies. Merely, the several studies have been undertaken in the area of individual lament Psalms, wisdom Psalms and royal psalms, which seem to be fully explored by Herman Gunkel. On the contrary, the synchronic research has continually undergone in the following two directions. First, most researches focuses on the general linguistic approaches, namely a major feature of Hebrew poetry, language, image, structure, syntactical constriction. Second, the most prevailing interest in Psalm researchers has to do with the questions about the editorial intention of the final form of the text.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the theological intention o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individual, Psalm or small unit of several psalms or the final form of the Psalm in the current position. Further, along with the diachronic and synchronic approaches, the psalm studies habe employed a range of different methods, namely ideologic, feministic and ecological approaches. Recently, several scholars tend to concern this tendency. Despite of this concern, the remarkably various methodologies enrich the Psalm studies. In fact, the methodologies are not contrary to each other, but cooperative. Moreover, it seems that this tendency will go further.

한국어

이 논문의 목적은 1990년 이후 현재까지의 시편 연구 경향을 정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외국 학자들과 동시에 한국 학자들의 주요 연구를 살펴보았다. 최근 시편 연구 추세는 통시적 방법과 공시적 방법이 서로 공존한 가운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보이고 있다. 우선 통시적 방법, 즉 양식비평을 위주로 하여 시의 양식과 저자, 삶의 자리 등, 시의 전 역사를 묻는 연구는 공시적인 연구에 밀려 양적 그리고 질적 면에서 상당히 주춤하고 있다. 단지 궁켈에 의해 미진하게 연구된 부분 즉, 개인 탄원시, 제왕시, 지혜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는 달리 공시적 연구는 두 가지 방향으로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는 시라는 일반적인 문학 형태에 대한 치밀한 분석, 즉 전형적인 히브리 시의 특징, 언어, 이미지, 구조, 시 문체의 대화적 성격 등의 연구가 개별 시들을 분석함으로서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둘째는 최근 시편 연구가들이 가장 관심을 가지고 활발히 진척되고 있는 작업은 시의 현재 위치와 배열을 분석하여 편집의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연구는 시편 150편 전체 혹은 개별 소단위 묶음 시들의 현재 위치와 배열 상태를 앞뒤에 위치한 시들과의 상관관계를 치밀하게 연구하여 신학적 의도를 묻는다. 나아가 이러한 통시적이고 공시적인 시편해석 방법은 여성학적, 이데올로기적, 생태학적 방법 등의 다양한 접근 방식과 더불어 연구 방법은 더욱 복합적이다. 최근 이렇듯 전통적인 양식비평이 소홀한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연구 방법들은 시편 연구를 풍성히 해준다. 사실상 이들 방법은 서로 상충된다기보다는 상호 협력적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목차

1.들어가는말
 2. 최근 시편 연구의 흐름
  1) 양식비평
  2) 시들의 현재 위치와 배열에 따른 편집의도
  3) 시편신학
  4) 시편과고대근동
  5) 기타 언어적, 이데올로기적, 여성신학적 접근 및 시편과 신약의 연관성
  6) 시편의 우리말 번역 문제
 3. 나가는말
 4.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태경 Tae-Kyung Kim. 감신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