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구약성서 연구와 해석

에스겔서에 사용된 ‘허탄한 묵시’(하존 샤브)의 의미와 기능 연구 - 에스겔서 13장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Study of the Function and Meaning of False Vision in the Book of Ezekiel

윤동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the function and meaning of false vision in the Book of Ezekiel. The Book of Ezekiel describes Ezekiel as performing prophetic role among exiles in Babylonia. The multi cultural and polytheistic Babylonian environment gave Ezekiel new prophetic challenge, because the Israelites exiles were being rapidly assimilated with Babylonian culture and religion. So some male prophets even in the tragic exile claimed that they saw the vision of peace, whereas the peace did not exist. In addition, some female announced prophesy out of their own imagination. They sew magic charms on all their wrists and made veils of various lengths for their heads to deceive the people. Ezekiel criticized their false prophecy by using various vocabularies, comparing them with false divination, and emphasizing uselessness of their visions. However, Ezekiel’s prophetic authority was not completely conceded among exiles, because his prophetic channels such as dreams and visions could not simply discerned from hallucination. In fact, some Babylonian diviners also adopted dreams and visions in ecstatic state to receive divine will. So Ezekiel was required to prove the authority and authenticity of his visions. He employs a unique phrase “aw>v" !Azx]”(hazon shav) in order to support the authority of visions that he saw. For Ezekiel the phrase “aw>v" !Azx]” was the tool for arguing with false prophecy and pointing out the fallacies of new prophetic movement led by female prophets, while depending the authority of his prophecy.

한국어

본 논문은 에스겔서에 기록된 “허탄한 묵시”의 의미와 기능을 연구한다. 에스겔은 바벨론의 포로민들에게 예언을 선포 한다. 바벨론의 다문화적 다종교적 상황은 에스겔에게 새로운 예언자적 역할을 기대케 한다. 왜냐하면 포로민들은 바벨 론의 문화와 종교에 급속하게 동화되어 갔기 때문이다. 어떤 남성 예언자들은 포로라는 비극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자신 들이 보지도 못한 평강의 묵시를 선포하였다. 또한 어떤 여성들은 자신의 뜻대로 예언을 선포했다. 그들은 손목에 부적 을 달고 머리에 베일을 쓰고 백성들을 속였다. 에스겔은 이들은 거짓 예언의 문제점을 지적하기 위해 다양한 용어들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 예언을 거짓 점궤와 비교하고, 또 그들이 본 묵시의 헛됨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포로민들은 에스겔의 예언자적 권위에 완전히 동의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가 예언을 받는 수단인 꿈과 환상은 환각과 구분하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바벨론의 점술사들의 신의 뜻을 구하기 위해 황홀경 상태에서 꿈과 환상을 사용하 였다. 에스겔은 자신이 본 환상의 권위와 진실성을 증명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그는 “허탄한 묵시”라는 특유의 문구 를 사용하여 자신이 본 환상의 권위를 변호하였다. 에스겔은 “허탄한 묵시”라는 문구를 거짓 예언과 논쟁하는 데만 사 용한 것이 아니라, 여 예언자들에 의해 시도된 새로운 유형의 예언운동의 오류를 지적하고 자신의 예언의 권위를 수호 하는데 사용하였다.

목차

1.서론
 2. “허탄한 묵시”의 용례
 3. “허탄한 묵시”의 사회적 기능
  1) 에스겔과 다른 남성 예언자들과의 대결(2-16절)
  2) 에스겔과 어떤 예언하는 여인들과의 대결(17-23절)
 4. 결론
 5.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동녕 Dong-Young Yoon. 서울장신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