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alysis of Characteristics & Livability Impact Model on Street Space Considering the Sustainability - Focused on the Main Street Space of Small Village in Rural Area -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an improvement direction to increase users' street livability from a sustainability perspective in the main street of Jangseong-eup, Jeollanam-do where the town promotion project has been carried out recently. The effects of street livability and components of street space were examined by path mode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facade comfort of street buildings was the first consideration in relation to street liability in the past. However, street space after certain maintenance regarded pedestrian accessibility and making distinctive placeness as importance rather than comfort. Therefore, the findings suggested the need to secure comfort.
한국어
본 연구는 최근 소도읍육성사업이 진행되었던 전라남도 장성읍 중심가로를 대상으로 지속성의 관점에서 이용자들 의 가로 적주성(livability) 향상을 위해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 내용은 가로의 적주성과 가로공간 구성요소간의 영향력을 경로모형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기존의 가로의 적주성 과 관련하여 가로변 건축물의 파사드 중심의 쾌적성이 우선시 되었지만 일정의 정비를 거친 가로공간의 경우는 건 축물 파사드 관련 쾌적성이 아닌 보행 접근성과 차별화된 장소성 확보가 중요한 사항으로 여겨지며, 이를 통한 쾌 적성의 확보가 필요시 되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방법과 범위
2. 이론적 고찰
2.1 가로의 적주성
2.2 가로공간 구성요소
2.3 보행 커뮤니티 중심의 가로정비
3. 조사대상지역 중심가로변 건축물의 특성
4. 가로공간의 적주성 영향모델 검증 및 분석
4.1 설문개요 및 일반특성
4.2 평가항목의 평균값 분석
4.3 평가항목간 관계성 분석
4.4 경로모형에 의한 분석모형의 검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