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농촌지역 지속성을 위한 면소재지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내 면소재지의 주민 인식도 조사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the Seat of Myeon for Rural Sustainability - Focusing on the Resident's Perceptions of Seat of Myeon in Jeollanam-do -

박성진, 김윤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an empirical study to examine the methods to revitalize from a sustainability perspective and was conducted with residents living in Sonbul-myeon, Hampyeong-gun and Duwon-myeon, Goheung-gun that performed a base function in Jeollanam-do. The causality between functional revitalization and comfort elements of the seat of myeon and levels of perceived revitalization was analyzed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sustainable revitalization of the seat of mye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while functional revitalization elements influenced centrality by concentrated convenient facilities and diversity of residents activity and cultural space, comfort revitalization elements influenced the harmony of building exteriors, the aesthetics of signboards and street facilities, and the convenience of convenient facilities.

한국어

본 연구는 전라남도 내에서 거점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면소재지 중 함평군 손불면과 고흥군 두원면 면소재지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지속성 관점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실증적 연구이다. 그리고 주 내용은 면소재지의 기능활성화 요소/쾌적성 요소와 활성화 인식 정도에 대한 변수들 간 인과적 관계를 분석함으로서 면소재지의 지속가능한 활성화 방향설정을 모색하는 것이다. 그 결과 기능 활성화 요소들은 각종 생활편의시설의 집중에 의한 중심성과 주민활동 및 문화공간의 다양성이 활성화에 영향을 미쳤고 쾌적성 요소들은 건축물의 외관 조화와 간판/가로시설물의 심미성과 생활편의시설의 편리성이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농촌중심지 활성화 선행연구
  2.2 도심 기능 활성화와 쾌적성
 3. 조사대상지 특성
 4. 면소재지 활성화 영향모델 검증 및 분석
  4.1 설문개요 및 일반특성
  4.2 연구모형의 설계 및 가설 설정
  4.3 변수의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
  4.4 변수 간 정규분포 검토
  4.5 경로모형 분석 및 가설검정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성진 Park, Sung-Jin. 조선대학교 건축학과 강사, 공학박사
  • 김윤학 Kim, Yun-Hag. 조선이공대학교 건축과 조교수, 공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