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례분석을 통한 단독주택 수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Planning the Water Space of Detached Houses through Case Analysis

오상목, 조인성, 오세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water spaces introduced into residential environments through cas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t is most important in water space plan to transform the recognition of water spaces. Successful cases recognize water spaces not as the additional el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composition but as its central element. (2) The simple existence of water spaces does not have their esthetic/ psychological effects. The planning elements including water features, water space forms, representation methods, physical boundaries, and producing techniques should maintain a series of composing order, which operates on the perception and psychology of human beings, so that water spaces show the value of design elements. (3) Reflex, reflection, and transparency were the natures which were emphasized most among the features of water spaces. Reflex was emphasized in the water of small quantity, reflection in the water of large quantity, and transparency in flowing water respectively. (4) The forms of water spaces consider the harmony with the characters of residential spaces to mainly create the forms of stagnant water/ contained water. However, in several cases, combining the water spaces of diverse forms and functions represents unexpected effects like natural water to make a residential life more affluent. (5) Also, the forms of water spaces influence the features of residential spaces such as centers, boundaries, and directions to connect with, separate from, and integrate with residential spaces actively. (6) The additional elements including lighting, music, and sculpture, which are applied along with water spaces, play an auxiliary role in enhancing design effects. These elements transcend the simple visual effect to complete the affluent effect of satisfying all the senses such as auditory and tactile senses.

한국어

본 연구는 사례 분석을 통해 거주환경에 도입되는 수공간의 계획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공간 디자인이 다소 다양하 고 복잡한 배경을 전제로 이루어짐을 알았지만 분석 내용을 토대로 나름의 계획적 원칙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공간 계획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식의 전환이다. 성공한 사례는 계획 초기부터 수공간을 부가 요소가 아닌 주거 환경구성의 핵심 요소로 인식하며 다루고 있다. 2) 단순히 수공간의 존재가 미학적/심리적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한다. 물의 특성, 수공간 형태, 재현방식, 물리적 경계, 연출 기법 등의 계획 요소들이 일련의 구성 질서를 가져야 하며 이러한 질서가 인간의 지각과 심리에 작용함 으로써 수공간은 디자인 요소로서 가치를 발휘한다. 3) 수공간의 특성 중 가장 강조 되는 성질은 반사, 반영, 투명성이었다. 반사성은 작은 양의 물에, 반영성은 많은 양 의 물에, 투명성은 흐르는 물에서 강조 되었다. 이 세 가지 성질은 복합적으로 나타나며 투명한 물은 바닥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며 또 매끄러운 물표면, 거기에 반사되는 사물의 이미지가 혼합되어 미학적 효과를 나타낸다. 4) 수공간의 형태는 주거공간의 성격과 조화를 고려하여 대부분 고인물/ 담수의 형태를 주로 이룬다. 그러나 몇 몇 사례에서 보여준 다양한 형태와 기능의 수공간 조합은 마치 자연의 물처럼 예상치 못한 효과를 나타내고 주거 생활 을 더욱 풍부하게 해준다. 5) 또한 수공간의 형태가 중심, 경계, 방향 등의 주거공간의 성질에 영향을 끼치며 이로 인해 주거공간을 적극적으 로 연결, 분리, 통합하고 있다. 수공간과 주거 공간이 흥미롭게 조우하면서 새로운 형태 및 의미를 생성시킨다. 6) 수공간과 함께 적용되는 조명, 음악, 조각 등의 부가 요소들은 디자인 효과를 높여주는 보조 역할을 한다. 이것 은 단순히 시각적인 효과를 넘어 청각/촉각 등의 모든 감각을 만족시키는 풍부한 효과를 완성시킨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1.3 선행연구고찰
 2. 수공간 도입 프로세스 고찰
  2.1 수공간의 도입목적 설정
  2.2 수공간의 성격 규정
  2.3 수공간의 도입 위치 결정
  2.4 수공간의 형태 결정
  2.5 수공간의 재현방식 결정
  2.6 수공간 크기 결정
  2.7 수공간을 한정하는 형태 결정
 3. 분석 관점 설정 및 사례수집
  3.1 분석 관점 설정
  3.2 사례수집
 4. 사례 분석
  4.1 내부공간 도입형
  4.2 내ㆍ외부공간 도입형
  4.3 외부공간 도입형
  4.4 소결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오상목 Oh, Sang mok.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강사
  • 조인성 Cho, In Seung. 전남대학교 박사수료, 광주여자대학교 시간강사
  • 오세규 Oh, Se Gyu.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